
성전 남해 용문사 주지
그런 매화나무에 꽃들은 강물이 흘러가듯이 피고 지기를 계속하고 있다. 얼마나 신기한 일인가. 어쩌면 그 꽃들은 아주 오래 전 이 절 스님들의 이야기이고 신심 있는 불자들의 기도하는 모습인지도 모른다. 먼 훗날 이 나무는 내 삶의 이야기도 간직하고 있다가 꽃으로 피워낼지도 모른다. 그러면 누군가 지금의 나처럼 이 매화나무 아래를 서성이며 한 시대의 이야기 향기에 귀를 기울일 것만 같다.
매화가 아름다운 것은 자신만의 향기와 모습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매화는 장미를 닮으려 하지도 않고 백합을 부러워하지 않는다. 매화는 자신을 사랑해 그 향기마저도 감추며 건넨다. 조심스럽게 건네는 매화의 향기 속에서 나는 매화의 자기 사랑을 본다.
살아가면서 우리 사람들만큼 다른 것을 부러워하는 존재들도 없을 것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몇명의 신화와 같은 존재들의 삶에 자신의 모든 것을 맞추려고 애쓴다. 돈을 많이 벌어야 하고, 권력을 잡아야 하고, 경쟁에서 이겨야 한다는 인생의 창살을 스스로 만들어 갇혀 살고 있다. 왜 우리는 좀 가난하면 안 되고, 경쟁에서 뒤지면 안 되는가. 누군가 잘살고 누군가 앞서 간다면 그것이 우리들에게 즐거움은 될 수 없는 일인가.
그러나 우리는 그렇게 살지 못하고 있다. 사람들은 대개 타인의 욕망을 여과 없이 받아들이는 속물적인 삶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모두 다 똑같은 삶의 형태로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획일화된 삶의 모습들 속에서는 꽃의 아름다움과 향기를 발견할 수가 없다. 오직 질시와 원망 이외에 그 무엇이 있겠는가.
간혹 똑같은 삶을 거부하고 다르게 살고자 하는 사람들을 만나는 일은 꽃을 만나듯 반가운 일이다. 불교 귀농학교에 가 보면 더러 그런 사람들을 만난다. 한번은 30대 초반의 부부가 귀농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졸업식 날 귀농학교 교장인 나는 그들에게 귀농할 것인지를 물었다. 그들은 아주 경쾌하게 대답했다. “네, 귀농하겠습니다.” 나는 다시 이유를 물었다. 그들은 주저하지 않고 말했다. “똑같은 삶이 아니라 좀 다른 삶을 살아야 내가 나인 이유를 알 것 같아서요.” 그 말이 내 가슴을 치고 지나갔다. 그것은 매화의 향기와도 같이 내 가슴 깊은 곳에 내려앉았다.
사실 우리는 정작 원하지도 않는 삶을 살아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삶에 기쁨이 없고 행복이 없다면, 그것은 자신을 살고 있는 것이 아니다. 기쁨과 행복만이 자신의 참모습이기 때문이다. 우리들 생명의 본래 모습을 회복하기 위하여 우리들의 삶에는 반란이 필요하다. 기쁨과 행복을 위한 반란 말이다.
우리 절 밑 마을에는 서울에서 온 60대 부부가 산다. 그들은 그냥 꿈을 찾아 무작정 귀촌했다. 농촌 마을에서 살아 보는 평생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늦은 나이지만 귀촌을 감행한 것이다. 그들은 마을 사람들과 어울려 행복하게 산다. 함께 음식을 나누어 먹고, 노래방 기계에 맞춰 노래하며 그렇게 산다. 이제는 어디 외지에 나가면 용소마을의 작은 집과 마을 사람들이 그립다고 한다. 늦은 나이에 꿈을 찾아온 부부는 이제 기쁨을 만난 것이다. 쉽게 할 수 없는 일을 그들은 결행한 것이다. 그 결행은 꿈이 있어 가능했고 그들은 이제 그 꿈에 안착해 자신의 삶을 살 수 있게 된 것이다.
좀 다르게 살자. 다르게 살면 우리는 저 매화와 같이 향기를 발하며 아름다운 모습으로 살아갈 수 있다. 왜 이 아름다운 삶의 길을 욕망에게 그토록 쉽게 내어주고 지친 어깨로 인생을 살아가는가. 획일화된 삶을 벗어나면 우리 자신의 삶을 살 수가 있다. 그것은 얼마나 멋지고 살맛 나는 일이겠는가.
2011-02-26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