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한·일 보도관행 누가 옳고 그른가/윤설영 정치부 기자

[오늘의 눈] 한·일 보도관행 누가 옳고 그른가/윤설영 정치부 기자

입력 2011-03-23 00:00
업데이트 2011-03-23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윤설영 정치부 기자
윤설영 정치부 기자
지난주 지진 취재를 위해 일본에 있는 동안 가장 무서웠던 것은 다름 아닌 ‘한국발 방사능 공포’였다. 언론사들 간의 속보 싸움과 뉴스 경쟁, 트위터에서 날아오는 출처를 알 수 없는 낚시성 정보. 그릇된 정보 하나가 핵보다 무서운 공포력을 갖는다는 것을 체감했다. 그런 의미에서 일본 언론의 차분한 재난 보도는 시사하는 바가 컸다. 쓸데없는 불안과 동요를 줄여 제2의 혼란을 막았던 것은 확실한 것 같다.

그런데 일본 언론의 보도 방식이 주민들에게도 도움이 되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닌 것 같다. 지진 발생 후 6일간 일본에 머물렀지만 기자는 피난소에 적절한 구호물자가 도착했다는 소식을 접하지 못했다. 국회의원이나 지자체장이 재해지역을 찾았다는 소식도 듣지 못했다. 대신에 대피소에서 구호물자가 오기를 착하게 기다리고 있는 피난민들의 모습만 봤다.

“방사능이 걱정되지 않느냐.”, “구호물자가 부족한데 힘들지 않으냐.”라는 식으로 기자들이 유도질문을 하는 경우도 없었다. 그래봤자 주민들의 불안만 가중시킬 뿐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정치인들의 위로 방문을 촉구하는 것보다 가족들의 안부 확인, 교통·수도·전기 정보들이 주민들에게 더 실용적인 뉴스라고 판단했을 수도 있다.

우리나라에서 비슷한 상황이 발생했다면 한국 언론은 어떻게 보도했을까. 정부는 왜 빠른 지원을 하지 않는지, 정치 지도자는 왜 현장지휘를 하지 않는지 신문 1면부터 사설까지 조목조목 비판했을 것이다. 이런 식의 보도가 주민들에게 유익한지 않은지를 떠나, 분명 이는 정부를 움직이게 하고 시스템을 돌아가게 했을 것이다. 한국 언론의 보도 관행이 즉흥적이고 냄비처럼 잘 끓는다는 지적도 있지만, 국민들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전하는 것이 언론의 중요한 임무 가운데 하나라는 것을 일본의 보도 관행을 보면서 다시금 깨달았다. 국가 위기 상황 시 언론이 취해야 할 적절한 보도 스탠스는 어느 선인지 진지하게 생각하게 한 계기였다.

snow0@seoul.co.kr
2011-03-23 3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