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나라당 나눠먹을 거면 비대위 왜 만들었나

[사설] 한나라당 나눠먹을 거면 비대위 왜 만들었나

입력 2011-05-09 00:00
수정 2011-05-09 00: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와 최고위원들이 퇴진에 앞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 안 대표는 어제 퇴임 기자회견에서 비대위 구성과 관련해 최선의 선택이라고 했지만 반성이 보이지 않는다. 물러나는 지도부들이 숙덕공론해서 정의화 위원장과 나머지 위원들을 인선하고, 그것도 계파 나눠먹기식으로 짜는 데 급급했다. 이 때문에 소장파들이 집단 반발하고 나서는 등 오히려 갈등만 낳고 있다. 비대위가 쇄신과 변화의 출발점이 되려면 기존 지도부들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한다.

안상수 대표는 비대위 구성의 경우 최고위원회의 권한 사항이라고했다. 하지만 이런 주장이 당헌·당규에 합당한 것인지 논란을 빚는 데다가 내용면도 적지 않은 하자를 안고 있다. 4·27 재·보궐 선거 참패를 계기로 한나라당이 새 질서를 추구하려면 새 사람이 새 틀을 짜야 한다. 최고위원들 가운데 일부는 전당대회 도전을 염두에 두고 있다. 인책 대상들이 지도부를 다시 맡겠다는 것도 마뜩잖은 일이다. 이도 모자라 비대위 인선까지 좌지우지한 것은 과욕이자 몰염치다.

비대위원 면면을 보면 친이계 7명, 친박계 3명, 중립 3명 등이다. 최고위원들은 그제 저녁에 모여 전형적인 나눠먹기식으로 비대위를 급조했다. 당내 세력분포라는 현실을 외면할 수 없는 점을 감안한 고육책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들이 만장일치로 의결했다는 그 내용을 들여다보면 꼼수가 엿보인다. 그들은 비교적 계파색이 옅고, 평소 강한 목소리를 내지 않는 인사들을 주축으로 해서 비대위를 구성했다. 또 비대위의 권한을 최고위원회의 통상업무 및 전당대회 준비 관련 업무로 한정했다. 두 가지 점만 봐도 비대위의 역할을 전당대회 준비기구로 축소시키려는 의도가 다분하다. 비대위가 자신들의 행보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약체로 만들었다는 의심을 사기에 충분하다. 이런 비대위로는 쇄신을 기대하기 어렵다.



비대위에는 대권·당권 분리규정 개정,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 등 예민한 사안이 산적해 있다. 그러려면 비대위는 계파를 초월해 쇄신을 주도할 인사들로 짜여져야 한다. 비대위라는 변화의 첫 단추를 꿰려면 먼저 의원총회를 열어 정 위원장 추인여부를 정해야 할 것이다. 정 위원장이 추인받는다면 그의 주도로 비대위원 인선을 다시 해야 한다.
2011-05-0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