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窓] 다 받아들이자/성전 남해 용문사 주지

[생명의 窓] 다 받아들이자/성전 남해 용문사 주지

입력 2011-07-09 00:00
업데이트 2011-07-09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성전 남해 용문사 주지
성전 남해 용문사 주지
장마가 찾아온 바다엔 물결 소리가 거셌다. 저 물결은 어디로 가고 싶은 것인가. 그 너른 바다에 살아도 또 가야 할 그 어딘가가 있다는 것인가. 아니면 그 넓음에 끝없음을 저 물결은 온몸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인가. 우리는 너무 작게 산다. 우리 안에 허공보다 넓은 마음이 있다는 것은 까맣게 잊고 살아가고 있다. 바다는 넓어도 그 무한성을 확인하고자 하는데, 우리는 먹고 마시고 대상을 따라 생각하는 삶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한다. 자신의 진짜 모습은 허공보다도 넓은데 우리는 이 작은 모습만을 자신의 모습이라고 생각하며 살아가고 있다.

왜 저 물결처럼 자신의 넓음을 확인하려 들지 않는 것일까. 왜 ‘나는 누구인가.’라고 우리는 자신을 향해서 질문을 던지지 않는가. 질문을 던지다 보면 우리는 알게 된다. 이 작은 내가, 내가 아니라는 것을. 이 작은 ‘나’ 뒤에 형상으로는 그릴 수 없는 자신이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그것은 자신이 허공보다 넓은 존재임을 확인하는 일이다. 자신이 얼마나 넓은 존재인가를 확인하는 순간, 우리는 삶의 모든 분노와 절망으로부터 벗어나 용서와 평화의 삶을 살아갈 수 있다.

하안거를 마치고 부처님의 빼어난 제자가 길을 떠나려고 하고 있었다. 그때 다른 비구 하나가 부처님의 상수 제자가 자신을 비난하고 때렸다고 부처님께 고했다. 부처님은 상수 제자인 사리불에게 그 사실을 확인했다. 그러자 사리불이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부처님이시여, 한 스승 밑에서 함께 공부하는 도반에게 잘못을 저지르고 나서 용서를 빌거나 참회도 하지 않고 어떻게 여행을 떠날 수 있겠습니까? 부처님이시여, 저는 마치 대지(大地)와도 같아서 어느 누가 꽃을 던져도 즐거워하지 않고, 혹 대소변이나 쓰레기를 쌓아 놓아도 불쾌함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사리불은 평화로웠다. 그는 이미 형상에 국한된 자신을 벗어나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허공과도 같이 넓은 자신의 본래 모습을 보았고 그 삶의 평화로움을 구현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물결치는 바다를 향해 누군가 방뇨를 한다. 그러고 나서 동료들을 향해 시원하다고 소리친다. 몹쓸 인간. 바다보다도 내가 먼저 불쾌해졌다. 바다는 얼마나 불쾌할 것인가. 부끄러움을 모르는 인간의 행적 앞에서 나는 민망했다. 바다에게 사죄하고 싶었다. 하지만 이것도 나의 좁은 소견일 뿐이다. 바다는 인간의 만행을 아는지 모르는지 여전히 물결치며 달려오기를 계속하고 있을 뿐이다.

좁은 마음에 갇힌 우리는 언제나 반응한다. 그래서 어떤 경계 앞에서도 자유롭지 못하다. 반응한다는 것은 구속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구속은 생명의 참된 모습을 모르는 데서 온다. 형상에 집착하면 그 어디에나 구속될 수밖에 없다. 전도몽상이다. 이 전도된 몽상을 여의지 않으면 마음의 평화를 만날 수가 없다. 그러나 생명의 참모습을 아는 사람은 주시한다. 주시함으로써 반응의 파고로부터 자유롭다. 그래서 언제나 고요한 마음의 평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바다에 바람이 분다. 습기를 머금은 바람이 내 전신을 스쳐 지나간다. 사람은 어떻게 성장해 가는가. 체험을 통해서도 성장해 가지만 진리에 대한 믿음을 통해서도 성장해 간다. 우리의 마음이 허공과 같이 넓다는 것을 알고 믿을 수 있다면 우리들의 삶은 달라질 것이다.

마음의 크기에 걸맞게 살아가는 사람은 그 어느 것도 다 받아들인다. 분별로 인한 괴로움이 없다. 그 마음 안에서는 모든 것이 지나가는 것일 뿐이다. 그러나 마음의 크기를 알지 못하는 사람은 언제나 부딪치기를 멈추지 못한다. 터지고 깨져서 분노하고 슬퍼할 뿐이다. 왜소한 삶의 끝은 초라할 뿐이다. 바다와 부처님의 제자는 닮았다. 그들은 다 받아들인다. 그래도 넘치지 않는다. 이 허공과도 같은 마음을 안고 살아가는 삶의 주인공은 우리 자신이다. 다 받아들일 수 있겠는가. 아니면 분별하다가 저녁 해를 맞을 것인가. 삶은 마음의 본래 크기를 찾아가는 여정이라는 것을 기억하자.
2011-07-09 2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