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 우리동네 인재는 우리가 키운다/고재득 성동구청장

[발언대] 우리동네 인재는 우리가 키운다/고재득 성동구청장

입력 2011-11-04 00:00
수정 2011-11-04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여보시오. 이 자식 젖 좀 먹여주오. 어미 없는 어린 것이 불쌍하지 않소.”하면 빨래를 하다가도 먹여준다.

이미지 확대
고재득 성동구청장
고재득 성동구청장
심청전의 한 구절이다. 심봉사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해 인당수에 몸을 던진 심청이는 젖동냥으로 자랐다. 조선시대뿐 아니라 1960년대까지도 우리나라에서 젖동냥하는 모습은 흔한 풍경이었다. 분유도, 우유도 귀하던 시절에 엄마를 일찍 잃은 옆집 젖먹이를 안타깝게 생각해 내 아이가 먹을 것을 흔쾌히 나눠주곤 했던 것이 우리의 인정이었다.

옆집에 누가 사는지도 모르는 각박한 시대라 하지만 우리 지역에는 아직 끈끈하고 탄탄한 지역사회 커뮤니티가 유지되고 있다. 얼마 전 우리 지역 내 17개 동에 동별 장학회가 만들어졌다. 구에서 운영하는 장학기금도 30억원가량 조성돼 운영되고 있지만 이 동별 장학회는 그 의미가 남다르다. 지역을 걱정하는 주민들의 따뜻한 마음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장학회가 세워진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벌써 2억원이란 돈이 모아졌다. 큰 재산가가 큰 금액을 기부한 것이 아니라 주민과 직능단체 회원, 점포주 등 500명이 넘는 평범한 이웃들이 십시일반 힘을 보탠 것이다.

얼마 전 장학금을 받은 한 학생은 “누군가 나에게 응원을 보내주고 있다는 것이 좌절하고 혼자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 때마다 큰 힘이 되었다. 앞으로 열심히 공부해서 지역의 후배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겠다.”고 말했다.

이 학생은 중학교 때부터 동 직능단체의 장학회에서 장학금을 받아왔는데 스위스의 한 명문대에 4년 장학생으로 합격했다. 나는 이 학생이 앞으로 우리 지역을 이끌어 나갈 든든한 재목이 되어줄 것이라고 확신한다.

예전에는 동네에서 나쁜 짓을 하지 못했다. 부모님뿐 아니라 옆집 할머니, 뒷집 아저씨의 눈도 매서웠기 때문이다. 가난하고 힘든 시절이지만 우리가 그 시절을 그리워하는 것은 매서웠지만 따뜻했던 옆집 할머니, 뒷집 아저씨의 인심 때문이 아닐까.
2011-11-0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