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지훈 지역희망디자인센터 상임이사
원래 신화역사공원의 조성 취지는 이런 것이 아니었다. 제주도의 전통문화를 상징적으로 집합 표현하는 세계 유일의 관광자원으로서뿐만 아니라 탐라문화제 및 ‘세계신화전설 축제’(신들의 축제)의 상설 야외공연장으로서의 기능을 담보하고, 인간과 자연이 함께하는 제주국제자유도시 위상을 제고시킬 수 있는 선도프로젝트의 하나로 제안됐던 것이다.
테마파크의 기본 포맷도 ▲신화공원 ▲역사공원 ▲생태공원 등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기본계획이 JDC의 자체 용역을 거치면서 교묘하게 변질되더니, 이젠 아예 당초의 세 가지 프로젝트는 단 1%도 진척시키지 못한 채 전혀 어울리지 않는 엉뚱한 시설들만 들어서고 있는 것이다. A지구, H지구, J지구 등 지구별 계획으로 변경될 당시에도 당초의 콘셉트와 다른 엔터테인먼트 위주 리조트 구상으로의 변질이라는 문제의식이 있었지만, 당초 구상의 핵심 콘셉트만이라도 어느 한 곳에서 구현되기를 바라는 기대는 버리지 않았다.
그러나 이제 그 기대도 접어야 할 듯하다. 민(외)자 유치를 위해 당초 콘셉트는 무시하고 무조건 유치하려고 나서는 것같이 보이기 때문이다. 최근 JDC에서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경빙장’ 또한 이곳을 염두에 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본다.
민(외)자 유치가 중요하지, 기본 콘셉트가 바뀌었다고 그게 그렇게 큰 문제가 되냐고 할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 테마파크의 기본 콘셉트는 제주만이 갖고 있는 특성을 보여줄 수 있는 주제이자 전 세계에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독특한 소재를 중심테마로 설정함으로써 경쟁력을 창출하자는 것이었다. 그것은 다름 아닌 1만 8000 신(神)으로 표현되거나 ‘신들의 고향’으로 통칭되는 제주의 문화자원이다. 이는 또한 ‘신들의 섬’(Island of Gods)이라는 브랜드 창출과도 관련돼 있다.
이제, 제주정신의 본질을 총체적으로 정립시켜 주는 실증적인 현장으로서 제안됐던 신화역사공원 프로젝트의 파산을 솔직히 시인하고 그 깃발을 내리기를 JDC에 권고한다. 더 진행하다간 오히려 귀중한 제주문화자산에 먹칠을 하는 오명을 뒤집어쓸 수도 있다는 우려에서다.
최근 제주돌문화공원 2단계 사업으로 1000억원 이상 투입되는 설문대할망 전시관 조성 사업이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당초 신화공원 프로젝트를 입안할 당시에도 이 사업과 콘셉트 중복이라는 지적이 있었다. 이참에 신화역사공원의 주요 콘셉트는 모두 돌문화공원 2단계사업으로 이관하고 JDC 핵심프로젝트에서 신화역사공원은 완전히 지우는 게 좋을 듯하다.
2011-12-2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