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3000만원 선거’ 말바꾸기는 새로운 구태다

<사설> ‘3000만원 선거’ 말바꾸기는 새로운 구태다

입력 2012-03-24 00:00
수정 2012-03-24 0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누리당 손수조 후보가 ‘3000만원 선거’라는 자신의 총선 대표 공약을 폐기한 것은 예사로 보아 넘길 일이 아니다. 이른바 ‘스토리 공천’의 최대 수혜자로 스스로 ”3000만원으로 선거를 완주하겠다.”며 캠페인까지 펼친 마당이다. ‘차떼기당’ 이미지의 원죄가 있는 새누리당 또한 이를 높이 평가하며 ‘손수조 마케팅’에 열을 올렸다. 그런 손 후보가 그제 “당장 후보등록비(1500만원 기탁금)를 내면 더 이상 선거운동은 불가능하다.”며 공약 폐기를 선언했다. 선거비용 3000만원을 전체 선거기간이 아니라 ‘공식 선거기간 전 쓰는 돈’으로 규정하며 빠져나갈 구멍도 마련해 놓은 터다. 선거에 쓰겠다던 ‘전세금 3000만원’도 전세금이 아니라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을 낳고 있다. 도대체 어디까지가 진실이고 어디까지가 거짓인가.

기성 정치인과는 뭔가 다른 참신함을 기대했던 국민으로서는 손 후보의 무책임한 말바꾸기 행태에 배신감이 클 수밖에 없다. 손 후보는 본 선거에 들어가면 법적으로 약 1억원+알파 정도를 선거 비용으로 쓸 수 있다며 자신의 저비용 정치 구호와는 전혀 다른 의중도 내비쳤다. 당초 ‘3000만원 선거운동’을 공언했을 때만 해도 많은 이들은 고개를 갸우뚱거리면서도 적잖은 신뢰를 보냈다. 고비용 선거풍토를 바꿔보겠다는 실험정신을 높이 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 무망한 일이 됐다.

하지만 ‘돈 선거’라는 구조적 악을 타파하는 정치실험은 계속돼야 한다. 그러기에 우리는 여전히 상대적으로 참신할 수밖에 없는 ‘2030 정치’에 대한 기대를 접을 수 없다. 그토록 떠들썩했던 공약을 지키지 못했으면 먼저 사과부터 하는 게 순서다. 선거에 미칠 파장을 줄이는 데만 골몰하는 듯한 태도는 구태를 넘어 추태로 비친다. 모든 일이 그렇듯 정치도 처음부터 잘 배워야 한다. 손 후보는 국민과의 약속을 하늘처럼 여기는 것이 정치의 출발점임을 깊이 되새기기 바란다.

2012-03-2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