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미국 NBC TV가 오사마 빈라덴의 사망 1년을 맞아 제작한 특집 ‘백악관 상황실’을 방영했다. 이 프로그램은 한 장의 사진으로부터 시작했다. 지난해 5월 2일 미군 특수부대 네이비실이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 인근의 빈라덴 은신처를 공격하는 위성 화면을 긴장된 표정으로 지켜보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참모들의 모습이 담긴 사진이었다. NBC의 앵커가 이미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이 사진 속에 나오는 인물들을 차례로 찾아가 당시의 상황을 듣는 구성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그 자체로 재미가 있었지만, 우리나라 정치에도 교훈이 될 만한 내용이 많았다.
먼저 대통령이 얼마나 외로운 존재인가를 다시 한번 깨달을 수 있었다. 작전 돌입 며칠 전 백악관 상황실에서 외교·안보 참모회의가 열렸다. 빈라덴 생포 또는 사살 작전 감행 여부를 논의하는 자리였다. 조 바이든 부통령은 반대했다. 미 중앙정보국(CIA)이 지목한 인물이 빈라덴인가 좀 더 정확하게 확인하자고 주장했다.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은 네이비실을 직접 투입하기보다는 안전하게 전투기로 문제의 건물을 폭격하자고 했다. 네바다 사막에서 네이비실을 지휘해 은신처 기습훈련을 마친 마이크 뮬런 합참의장은 작전 감행을 요청했다. 참석자 중 유일한 여성인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뮬런 의장을 지지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결론을 내지 못한 채 회의를 끝냈다. 그날 저녁 오바마 대통령은 가족들과 저녁을 먹고 두 딸을 재운 뒤 혼자 집무실로 가 밤새도록 고민을 했다. 작전이 잘못되면 미국의 이익과 체면이 크게 손상되고 오바마 본인의 재선도 날아갈 것이다.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이 이란 테헤란에 억류됐던 미국인 구출 작전에 실패한 뒤 재선에 실패한 전례도 있다. 그러나 오바마 대통령은 다음 날 백악관 안보보좌관에게 작전 착수 명령을 내린다. 그리고 아무 일도 없다는 듯한 표정으로 재해지역과 기자단 만찬 등 정해진 일정을 모두 소화한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우리나라와 완전히 다른 미국의 정치문화를 볼 수도 있다. 작전이 성공한 뒤 오바마 대통령과 참모들은 공식 발표를 하기 전에 역할을 분담해 국내외 주요인사들에게 미리 빈라덴 사살 사실을 통보해준다. 오바마 대통령이 가장 먼저 전화한 사람은 빌 클린턴·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이었다. 두 전직 대통령 모두 임기 중에 빈라덴을 추적해왔다. 부러웠다. 노무현 정권과 이명박 정권 사람들이 원수처럼 싸워대는 모습을 목격해 왔기 때문일 것이다.
이도운 논설위원 dawn@seoul.co.kr
먼저 대통령이 얼마나 외로운 존재인가를 다시 한번 깨달을 수 있었다. 작전 돌입 며칠 전 백악관 상황실에서 외교·안보 참모회의가 열렸다. 빈라덴 생포 또는 사살 작전 감행 여부를 논의하는 자리였다. 조 바이든 부통령은 반대했다. 미 중앙정보국(CIA)이 지목한 인물이 빈라덴인가 좀 더 정확하게 확인하자고 주장했다.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은 네이비실을 직접 투입하기보다는 안전하게 전투기로 문제의 건물을 폭격하자고 했다. 네바다 사막에서 네이비실을 지휘해 은신처 기습훈련을 마친 마이크 뮬런 합참의장은 작전 감행을 요청했다. 참석자 중 유일한 여성인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뮬런 의장을 지지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결론을 내지 못한 채 회의를 끝냈다. 그날 저녁 오바마 대통령은 가족들과 저녁을 먹고 두 딸을 재운 뒤 혼자 집무실로 가 밤새도록 고민을 했다. 작전이 잘못되면 미국의 이익과 체면이 크게 손상되고 오바마 본인의 재선도 날아갈 것이다.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이 이란 테헤란에 억류됐던 미국인 구출 작전에 실패한 뒤 재선에 실패한 전례도 있다. 그러나 오바마 대통령은 다음 날 백악관 안보보좌관에게 작전 착수 명령을 내린다. 그리고 아무 일도 없다는 듯한 표정으로 재해지역과 기자단 만찬 등 정해진 일정을 모두 소화한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우리나라와 완전히 다른 미국의 정치문화를 볼 수도 있다. 작전이 성공한 뒤 오바마 대통령과 참모들은 공식 발표를 하기 전에 역할을 분담해 국내외 주요인사들에게 미리 빈라덴 사살 사실을 통보해준다. 오바마 대통령이 가장 먼저 전화한 사람은 빌 클린턴·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이었다. 두 전직 대통령 모두 임기 중에 빈라덴을 추적해왔다. 부러웠다. 노무현 정권과 이명박 정권 사람들이 원수처럼 싸워대는 모습을 목격해 왔기 때문일 것이다.
이도운 논설위원 dawn@seoul.co.kr
2012-05-0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