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홍어와 과메기, 그리고 민주화/맹수열 온라인뉴스부 기자

[지금&여기] 홍어와 과메기, 그리고 민주화/맹수열 온라인뉴스부 기자

입력 2012-12-15 00:00
업데이트 2012-12-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선이 나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가장 즉각적이고 민감한 움직임을 보이는 곳은 인터넷이다. 후보들의 말 한마디, 행동 하나도 네티즌들에게는 좋은 얘깃거리이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맹수열 온라인뉴스부 기자
맹수열 온라인뉴스부 기자
그런데 후보들에 대한 기사 댓글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살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없는 단어들이 눈에 띈다. 예를 들면 이런 식이다.

“홍어들은 탱크로 밀어버려야 한당께.”, “과메기들 또 수꼴짓 하네.”

여기서 ‘홍어’는 전라도 특산물인 삭힌 홍어에 빗대 전라도 사람들을 비하하는 말이다. ‘탱크로 밀어버려야 한다’는 것은 5·18 광주 민주화운동 때 전두환 전 대통령이 했던 것처럼 전라도 사람들을 진압해야 한다는 뜻이다. 반대로 ‘과메기’는 경상도 명물과 경상도 사람들을 연결해 사용하는 말이다. ‘수꼴’은 수구 꼴통, 즉 극단적인 보수라는 얘기다. 참혹한 사건·사고는 물론 전직 대통령의 서거를 희화화한, 차마 옮길 수 없는 표현도 부지기수다.

이런 글들은 정치 기사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사회, 경제, 스포츠, 연예 등 모든 분야의 기사들에 전라도 혹은 경상도에 대한 비난이 넘쳐나고 있다.

인터넷을 주로 사용하는 연령층이 10~30대라는 점을 감안하면 놀라운 일이다. 세대를 거치면서 케케묵은 지역감정이 해소되기는커녕 노골적인 조롱까지 더해진 셈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자신들이 쓰고 있는 단어가 어떤 의미인지도 모르면서 마구잡이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청소년들은 이미 실생활에서 민주화를 ‘따돌림’이나 ‘공격’의 뜻으로 사용하고 있다. 민주화운동을 폭동으로, 민주화 투사들을 폭도로 잘못 이해한 이들이 이와 관련된 숭고한 가치와 행동을 정반대로 인식하고 있는 상황이다.

잘못된 인터넷 문화는 이제 우리 글을 파괴하는 수준을 넘어 젊은 세대의 역사관까지 왜곡하고 있다. 이것은 그들만의 문화로 가볍게 넘길 일이 아니다. 언어와 문화, 가치관은 시간을 먹고 자라기 때문이다. 훗날 이 땅의 사람들이 홍어와 과메기의 참맛을, 그리고 민주화의 가치를 잊어 버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다.

guns@seoul.co.kr

2012-12-15 2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