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를 열다] 1965년 서울운동장에서 열린 베트남 첫 파병 환송식

[DB를 열다] 1965년 서울운동장에서 열린 베트남 첫 파병 환송식

입력 2013-03-02 00:00
수정 2013-03-02 00: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사진 속에 도열한 장병들은 베트남에 처음으로 파병됐던 비둘기부대 장병들이다. 1965년 2월 9일 동대문 옛 서울운동장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과 삼부 요인, 외교 사절, 시민 3만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파병 환송식이 열렸다. 베트남 파병의 시작이었다. 박 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군기 엄정하고 용감무쌍한 국군의 전통을 더욱 빛나게 해 달라”고 당부했다. 파병 장병들은 환송식이 끝난 뒤 거리로 나와 행진하면서 시민들의 환송 인사를 받았다. 베트남 파병에 반대하는 야당과 학생들의 저항이 심했고 국내 안보 공백에 대한 걱정도 있었지만 미국의 원조 약속과 군수품의 국내 생산이라는 달콤한 조건을 박정희는 뿌리치지 못했다. 그는 파병 결정을 내리기 전 밤새 담배 몇 갑을 피우며 고민했다고 한다. 베트남 파병을 우리 쪽에서 먼저 제안했다는 주장도 있다. 우여곡절 끝에 베트남 파병안이 국회에서 통과돼 1개 공병대대, 1개 경비대대, 1개 수송중대 및 1개 해병·공병 중대로 구성된 비둘기부대가 인천항을 떠나 베트남 사이공(지금의 호찌민)에 도착한 것은 1965년 3월 16일이었다. 비둘기부대는 전투병과 공병 혼성 부대였다.

파월 용사들은 베트남으로 떠나기 전 4주 동안 강원 화천군 간동면 오음리 훈련장에서 실전에 대비한 훈련을 받았다. 현재 이곳에는 ‘참전 용사 만남의 장’이 들어서 있다. 베트콩들의 은신처이자 보급로, 비밀기지 역할을 했던 길이 157m의 지하 요새 구찌터널을 비롯해 열대 정글, 베트남의 전통 가옥 등 베트남 전쟁 당시의 상황을 재현해 놓고 있다. 1965년 6월에는 본격적인 전투부대를 파병하기로 결정돼 그해 9월 25일 주월 한국 군사령부가 창설되었다. 초대 사령관은 맹호부대 지휘관이던 채명신 장군이 겸임했다. 1965년 10월 16일 맹호부대 본대는 부산항을 떠나 10월 22일 퀴논항에 도착했다. 이어 1966년에는 백마부대가 파병됐고 해군은 백구부대와 청룡부대를 파월했다. 미국과 베트남의 휴전 협상에 따라 한국군도 1971년 12월부터 철수를 시작해 1973년 3월 23일까지 베트남에 가 있던 장병들이 모두 귀환했다. 1965년부터 1973년까지 베트남에는 8개 부대 연인원 32만 5517명이 파병돼 5000여명이 전사했고 2만여명이 부상했으며 10만여명의 참전 용사가 고엽제 피해로 고통받고 있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3-02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