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로의 아침] 그날, 그 일들은 우연이었을까/함혜리 문화부 선임기자

[세종로의 아침] 그날, 그 일들은 우연이었을까/함혜리 문화부 선임기자

입력 2014-02-06 00:00
업데이트 2014-02-0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함혜리 문화부 선임기자
함혜리 문화부 선임기자
마음속으로 느끼거나 생각한 것이 현실 세계에 나타나 각별한 의미로 다가오는 것을 정신분석학자 칼 융은 공시성(共時性) 이론으로 설명했다. 융의 가설에 따르면 눈에 보이는 질서의 배후에 더 깊숙하고 심오한 질서가 존재하며, 모든 것은 심층부에서 연결돼 서로 연동하고 있다. 우리에게 일어나는 일들, 숱한 만남들 모두에는 나름의 의미가 담겨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지난달 10일은 옛 동대문운동장 자리에 세워진 동대문디자인플라자앤파크(DDP)의 내부가 언론에 처음 공개된 날이었다. 선임기자 타이틀을 달고 난 이후 첫 현장 취재였다. 이라크 출신의 여류건축가 자하 하디드의 창의성이 돋보이는 ‘세계 최대의 3차원 비정형 건축물’은 근사했다. 곡선과 곡면, 사선과 사면이 흐르듯이 이어지는 파격적이고 독특한 외관은 거대한 뫼비우스의 띠를 연상케 했다. 종이 위에 머물러야 했던 설계를 구현해 낸 우리의 건축기술도 놀라웠고, 외국에 나가서나 볼 수 있었던 세계적 건축가의 작품을 랜드마크로 둘 정도로 우리 경제가 성장했다는 점도 의미심장했다. 하지만 건물 뒤편에 겨우 존재만 살아남은 한양도성 성곽의 이간수문(二間水門)을 본 순간 울컥 속이 치밀어 올랐다. 공사 과정에서 발굴된 하도감 터 유적들을 옹기종기 옮겨다 놓고 역사문화공원이라는 거창한 이름을 붙여준 대목에서는 낯이 화끈거렸다. DDP에는 한국 공공건축물 사상 최대의 예산인 4840억원이 투입됐고, 앞으로 연간 최소 300억원의 운영비가 소요될 것이라고 한다. 세계적인 건축가의 작품이 아무리 훌륭한들 600년 도읍의 역사를 덮어버리고, 그 많은 세금을 퍼부어 가면서 지어야 할 이유가 무엇인지 납득할 수 없었다.

‘명품 건축물’ 취재를 마치고 밖으로 나와 택시를 탔다. 얼른 들어가서 마감을 해야 하는데 택시가 느려도 너무 느렸다. 좀 빨리 가자고 재촉하려는 순간 기사의 주름진 옆 얼굴과 핸들을 움켜쥔 손이 눈에 들어왔다. “연세가 얼마나 되느냐?”고 물었다. 일흔일곱 살이라고 했다. 은퇴해야 할 나이도 훨씬 지났는데 쉴 처지가 안 되나 보다고 했더니 기다렸다는 듯 넋두리가 터져 나왔다. 20년간 부인의 병치레 탓에 모았던 재산을 다 날렸다. 부인은 먼저 떠나버리고 지금은 혼자서 단칸방에 산단다. 쥐꼬리만큼 나오는 연금으로는 입에 풀칠도 못하니 살기 위해 침침한 눈을 비비면서 운전을 할 수밖에 없다고 한다. 자식 둘은 출가해 부산에 살지만 ‘해준 게 없는’ 아버지를 보고 싶어하지도 않는다면서.

할 말이 없었다. 5000억원에 육박하는 혈세를 건물 하나에 아무렇지도 않은 듯 쏟아부은 사람들이 고단한 국민들의 처지를 알기나 하는 걸까. 우리 사회의 부당함과 불공정함을 잠시 잊고 지냈던 게 부끄러웠다. 머리에 철퇴를 맞은 것처럼 정신이 번쩍 들었다. 취재 현장에 돌아온 날 극단의 사례를 목격하면서 기자의 책임과 사명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게 됐다. 돌이켜 보니 그날 그 일들은 누군가 짜맞춘 것 같았다. 결코 우연은 아니었을 것이다. 끓는 피가 느껴지는 아침이다.

lotus@seoul.co.kr
2014-02-06 3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