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로의 아침] 보난자와 순교/김성호 문화부 선임기자

[세종로의 아침] 보난자와 순교/김성호 문화부 선임기자

입력 2014-02-18 00:00
업데이트 2014-02-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성호 문화부 선임기자
김성호 문화부 선임기자
요즘 세간에 가장 많이 회자하는 종교는 천주교다. 김수환-정진석을 잇는 염수정 서울대교구장의 한국 세 번째 추기경 서임에 얹혀 전해진 평신도 순교자 124위의 무더기 복자(福者)품 결정에 따른 관심의 폭발이다. 잇단 ‘대박’에 들떠 있는 한국천주교의 환희도 괜한 건 아닐 것이다. 주교회의가 연이은 낭보와 관련한 과열 반응과 소문을 겨냥해 자제요청을 하고 나선 게 무리가 아닐 듯싶다.

두 차례의 ‘대박 경사’에 맞물려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이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외신보도를 보면 교황의 8월 방한은 거의 굳어지는 추세다. 교황청 해외선교 매체인 아시아뉴스는 교황청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약 1주일간에 걸친 교황의 구체적인 방한 일정과 시복식 집전 계획까지 명시하고 있다. 교황청과 한국천주교는 여전히 “결정된 바 없다”는 입장이지만 천주교계와 정부 관련 부처의 움직임을 보면 교황 방한은 이제 코앞의 현실이 아닐까 한다.

교황 방한과 관련해 ‘북한을 위한 특별미사’에 특히 관심이 쏠린다. 방한 의제가 ‘북한의 평화와 젊은이, 순교자’로 정해졌다는 외신보도가 있고 보면 교황 방한 중 남북관계와 관련한 메시지와 행보가 큰 부분을 차지할 전망이다. 실제로 추기경 서임식을 위해 16일 출국한 염수정 추기경은 함제도 신부며 황인국·최창화 몬시뇰 등 북한 관련 사목과 대북지원에 앞장섰던 성직자를 대거 대동했다.

교황의 방한과 미사에 큰 관심이 쏠리는 건 역시 최근 해빙무드로 접어든 남북관계와 겹친다는 것이다. 남북 고위급회담 진척과 그에 따른 남북이산가족 상봉이 한반도와 주변 국가들의 큰 이슈로 떠오른 상황에서 교황의 메시지와 행보는 우리 정부가 촉각을 곤두세우는 큰 사안임에 틀림없을 것이다. 특히 ‘가난한 자들을 위한 청빈한 사목’을 우선 천명해 온 교황이 북한 주민들에 관심이 많고 보면 ‘북한 주민들을 위한 특별미사’에는 적지않은 반향이 예상된다.

한국천주교는 자생적인 신앙의 태동으로 해서 세계 천주교계의 각별한 주목을 받는다. 그 자생의 신앙은 1만명에서 많게는 2만명의 순교자를 낳은 아픔과 희생의 점철이다. 그래서 한국 천주교 성인 103위의 시성식을 집전하기 위해 지난 1984년 방한한 교황 요한바오로 2세는 비행기에서 내리자마자 이 땅에 입을 맞추며 ‘순교의 땅’이라 외쳤다고 한다.

박근혜 대통령의 ‘통일 대박’ 표현이 ‘잭팟’, ‘돌파구’, ‘보난자’등 다양하게 해석된다. 1970년대 초 국내에서도 큰 인기 속에 방영됐던 미국 서부드라마를 연상케 하는 ‘보난자’는 그나마 정이 간다. 서부개척시대 가족애와 정의감에 초점을 맞췄던 그 드라마 속의 ‘보난자’ 말이다. 한국 천주교는 교황청이 시복을 결정한 한국 순교자 124위를 이렇게 표현한다. “신분제도를 넘어 남녀평등과 인간적 권리 신장을 위해 헌신한 분들.” 교황 프란치스코도 방한하면 역시 보편적 차원에서 순교자의 정신을 우선 존중할 것임에 틀림없다. 그 메시지를 놓고 아전인수식의 해석이 또 난무하지 않았으면 한다. 보수·진보의 충돌 같은 추태의 재연말이다.

kimus@seoul.co.kr
2014-02-18 3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