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상봉이 20일부터 금강산에서 시작됐다. 아까운 세월을 허송하고 3년 4개월 만에 재개된 상봉 행사다. 20~22일과 23~25일 두 차례의 상봉이 이뤄지는데 제1차 상봉은 남측에서 82명과 동행가족 58명이 178명의 북측 이산가족을 만나고, 제2차 상봉은 북측 88명과 그 동행가족이 남측 이산가족 361명을 만나게 된다. 총 800~900명의 이산가족이 만나게 되는 셈이다. 건강이 악화된 91세 김성겸 할아버지는 북한에 사는 아들과 딸을 만날 일념으로 구급차를 타고 금강산에 가면서 ‘죽더라도 금강산에서 죽겠다’고 했다.
이번 제1차 남측 상봉자들의 구성을 보면, 평균 연령은 85세이고 이 중 25명은 90세 이상, 41명은 80~89세 노인들이다. 부부 상봉이 1명, 부모·자식 상봉이 11명, 형제자매 상봉이 50명, 삼촌 이상 상봉이 20명이다. 이는 ‘자식’을 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는 부모가 많았고 이제 자식들로서는 헤어진 ‘부모’ 만나기가 어렵게 됐다는 뜻이다.
현재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등록된 이산가족 찾기 신청자는 모두 13만명가량인데, 이미 6만명가량이 세상을 떠나고 생존자는 작년 말 기준으로 7만여명에 불과하다. 매년 약 4000명가량의 고령 이산가족이 세상을 떠나고 있다. 지금처럼 이산가족상봉이 이뤄지면 어느 세월에 이산가족 1세대나 90세 이상 노인들이 그리운 피붙이를 만날 수 있을지 아득하기만 하다.
이산가족상봉과 관련하여 두 정치인이 생각난다. 김대중 전 대통령과 안철수 의원이다. 김 전 대통령은 2000년 6월 평양에서의 정상회담을 위해 청와대를 출발할 때, 다른 의제들에 대한 합의도 절실히 바랐지만 ‘이산가족 상봉 하나만 합의해 낼 수 있다면 이번 정상회담은 성공’이라고 생각했다. 안철수 의원은 지난 대통령선거 과정에서 자신이 집권하면 ‘임기 5년 내에 제1세대 이산가족의 전원 상봉’을 약속했다.
대한적십자사는 이번에 금강산에서 북한 실무접촉단과 상봉행사 ‘정례화’ 논의를 이어갈 것이라고 한다. 조속히 이산가족상봉 행사의 정례화가 이뤄지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그런데 상봉의 정례화만 가지고서는 안 된다. 결국은 이산가족 상봉을 ‘상시화’해야 한다.
그런데 또 이산가족 상봉의 상시화만 갖고서도 문제를 다 해결할 수는 없다. 결국은 이산가족의 직접 대면상봉뿐만 아니라 화상상봉, 전화통화, 편지교환 등 다양한 형태의 직간접 상봉의 기회를 마련해야 하고, 동시에 상봉 장소와 시설을 크게 늘려야 한다.
향후 남북관계가 개선되면 개성은 물론 서울과 평양에도 이산가족상봉 면회소를 설치해야 할 것이다. 개성과 평양을 방문하는 남측 사람들이 개성면회소와 평양면회소를 통해 북한에 있는 가족들을 만나고, 남북회담과 각종 교류협력을 하러 서울을 방문하는 북측 인사들이 서울면회소에서 남한에 있는 가족들을 상봉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지금은 꿈처럼 보이지만 남북관계가 더욱 발전하게 되면 최소한 제1세대 이산가족들과 그의 직계자손들이 남북한 중에서 그들이 원하는 곳에 정착할 수 있도록 정치가 그들을 도와줄 수 있어야 한다. 잘못된 전쟁의 희생자들로서 속절없이 잃어버린 60여년의 세월을 보상해 주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그들에게 노년의 선택권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실현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불가능’한 것에 도전하지 않고서 어찌 우리가 원하는 세상을 만들 수 있겠는가.
정치가 무엇인가. 사람들이 겪는 아픔을 이해하고 그들의 고통을 함께 나누면서 문제해결을 통해 사람들이 사람답게 살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아닌가. 이산가족의 슬픔과 고통은 차원이 다른 아픔이요 고통이다. ‘전쟁이 있었으니 이산가족이 발생한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라는 차원에서 벗어나 지금부터라도 정치가 속죄하는 자세로 이산가족들의 아픔과 고통을 치유하는 데 본격적으로 나서기를 희망한다.
백학순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현재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등록된 이산가족 찾기 신청자는 모두 13만명가량인데, 이미 6만명가량이 세상을 떠나고 생존자는 작년 말 기준으로 7만여명에 불과하다. 매년 약 4000명가량의 고령 이산가족이 세상을 떠나고 있다. 지금처럼 이산가족상봉이 이뤄지면 어느 세월에 이산가족 1세대나 90세 이상 노인들이 그리운 피붙이를 만날 수 있을지 아득하기만 하다.
이산가족상봉과 관련하여 두 정치인이 생각난다. 김대중 전 대통령과 안철수 의원이다. 김 전 대통령은 2000년 6월 평양에서의 정상회담을 위해 청와대를 출발할 때, 다른 의제들에 대한 합의도 절실히 바랐지만 ‘이산가족 상봉 하나만 합의해 낼 수 있다면 이번 정상회담은 성공’이라고 생각했다. 안철수 의원은 지난 대통령선거 과정에서 자신이 집권하면 ‘임기 5년 내에 제1세대 이산가족의 전원 상봉’을 약속했다.
대한적십자사는 이번에 금강산에서 북한 실무접촉단과 상봉행사 ‘정례화’ 논의를 이어갈 것이라고 한다. 조속히 이산가족상봉 행사의 정례화가 이뤄지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그런데 상봉의 정례화만 가지고서는 안 된다. 결국은 이산가족 상봉을 ‘상시화’해야 한다.
그런데 또 이산가족 상봉의 상시화만 갖고서도 문제를 다 해결할 수는 없다. 결국은 이산가족의 직접 대면상봉뿐만 아니라 화상상봉, 전화통화, 편지교환 등 다양한 형태의 직간접 상봉의 기회를 마련해야 하고, 동시에 상봉 장소와 시설을 크게 늘려야 한다.
향후 남북관계가 개선되면 개성은 물론 서울과 평양에도 이산가족상봉 면회소를 설치해야 할 것이다. 개성과 평양을 방문하는 남측 사람들이 개성면회소와 평양면회소를 통해 북한에 있는 가족들을 만나고, 남북회담과 각종 교류협력을 하러 서울을 방문하는 북측 인사들이 서울면회소에서 남한에 있는 가족들을 상봉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지금은 꿈처럼 보이지만 남북관계가 더욱 발전하게 되면 최소한 제1세대 이산가족들과 그의 직계자손들이 남북한 중에서 그들이 원하는 곳에 정착할 수 있도록 정치가 그들을 도와줄 수 있어야 한다. 잘못된 전쟁의 희생자들로서 속절없이 잃어버린 60여년의 세월을 보상해 주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그들에게 노년의 선택권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실현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불가능’한 것에 도전하지 않고서 어찌 우리가 원하는 세상을 만들 수 있겠는가.
정치가 무엇인가. 사람들이 겪는 아픔을 이해하고 그들의 고통을 함께 나누면서 문제해결을 통해 사람들이 사람답게 살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아닌가. 이산가족의 슬픔과 고통은 차원이 다른 아픔이요 고통이다. ‘전쟁이 있었으니 이산가족이 발생한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라는 차원에서 벗어나 지금부터라도 정치가 속죄하는 자세로 이산가족들의 아픔과 고통을 치유하는 데 본격적으로 나서기를 희망한다.
2014-02-21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