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군부독재정권이 서슬 퍼렇던 1980년대 초 서울 명동은 한마디로 숨통 문화 지대였다. 그 시절 그곳의 전진상교육관에서는 민주화 운동의 정신적 지주 가운데 한 분인 함석헌 선생의 ‘도덕경’ 강해가 주 1회 있었다. 당시 해군 중위로 서울의 해군본부에 근무하고 있던 나는 퇴근 후 그 전설의 강의를 꼬박 챙기며 청강했다. 선생은 노자의 ‘도덕경’을 중심으로 스스로 일생 집적한 사량(思量)을 자유롭게 풀어내셨다.
차동엽 인천가톨릭대 교수·신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차동엽 인천가톨릭대 교수·신부
그때 배운 ‘도덕경’의 첫 문장은 지금도 또렷이 기억난다.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 학자들에 따라 약간씩 달리 해석되지만, “도를 도라 할 수 있으면 늘 그러한 도가 아니며, 이름을 이름이라 할 수 있으면 늘 그러한 이름이 아니다”쯤으로 알아들으면 대체로 무난하겠다. 곧 언어로 실재를 온전히 묘사할 수 없다는 심오한 가르침. 한마디로, 언어의 한계를 지적하는 명문이다. 그렇다고 이 문장으로 말미암아 말의 무한 가능성이 부정되는 것이 아니다. 다만 말과 실체의 괴리를 늘 시인해야 한다는 철리다(졸저 ‘천금 말씨’참조).
문창극 총리 후보자의 사퇴를 지켜보던 중 문득 저 말이 떠올랐다. 언론인 출신인 후보자가 언론의 뭇매를 맞고 녹다운되었다. 논리적인 합당성이 있는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칼을 쓰는 자는 칼로 망한다”더니 꼭 그 모양새가 됐다. 문 후보자는 사퇴의 변에서 팩트(fact)만을 보도해 줄 것을 호소했다.
내게는 실체적 진실과 보도 내용의 괴리에 대한 통절한 탄원으로 들렸다. 이 비극은 비단 대한민국 언론에만 해당하지 않는다. 우리 언어문화 전반에서 다반사로 일어나는 병폐인 것이다. 실체적 진실을 말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평생 글로 이름을 떨친 시인 고은은 어느 글에서 그 지난함을 단테의 ‘신곡’ 천국편 33절을 빌려 토로했다. “내 입에서 터져 나오는 말은 / 내가 기억할 수 있는 말임에도 아직 / 어미 젖 묻은 아기의 옹알이보다 짧으리라.” 나는 고은 시인이 이 시에 다음과 같은 취지의 변을 붙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우리는 참 많은 말을 한다. 한평생을 살아가면서 잊을 수 없는 말을 남기기도 하지만, 또 쓰레기나 티끌 같은 말도 마구 내뱉는다. 하지만 아무리 성숙한 말도 팩트 자체에 비할 때 젖먹이가 하는 옹알이보다 짧거나 못 미치는 법이다.” 그러기에 일상을 언어와 뒹굴며 사는 시인에게 “어미 젖 묻은 아기의 옹알이보다 짧으리라”는 노래는 또 하나의 명시이면서 채찍이었으리라.
우리가 스스로 지혜롭네, 의롭네, 말 잘합네 하면서 시인의 말마따나 ‘잊을 수 없는’ 그런 말을 세상에 남긴다 한들 그것은 정녕 ‘짧으리라’. 절대와 맞닥뜨려 영원의 면전에서, 순수 앞에서, 어느 말이 스스로 ‘길다’고 주장할 수 있으랴.
우리에게는 우리가 하는 말이 ‘짧다!’는 한계 의식이 노상 필요하다. 말만 짧은 것이 아니다. 우리의 판단 역시 진실 앞에 매양 짧다. 가만히 짚어 보면, 우리가 남을 판단할 때 충분한 정보를 확보하고 심사숙고하면서 신중하게 판단하는 경우는 거의 드물다.
외려 부족한 정보 또는 왜곡된 정보에 의거해 감정에 치우쳐 남을 단죄하는 일이 다반사다. 판단이 이토록 짧을진대 그 판단을 말로 표현하는 것은 진실 앞에 얼마나 더 짧겠는가. ‘어떻게 하면 말을 잘할 수 있을까’에만 혈안이 돼 있을 것이 아니라 평소 쉽게 내뱉는 말에 대한 성찰이 더욱 필요한 우리들이다.
2014-06-28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