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희망을 절망으로 바꾼 무책임함에 대해/홍혜정 사회 2부기자

[오늘의 눈] 희망을 절망으로 바꾼 무책임함에 대해/홍혜정 사회 2부기자

입력 2014-07-17 00:00
수정 2014-07-17 00: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홍혜정 사회 2부기자
홍혜정 사회 2부기자
6·4 지방선거 때 쓰일 선거·유세 용품 제작에 참여한 중소업체 10곳이 줄도산 위기에 처했다는 제보를 받고 취재한 게 지난달이다. 유세차량 대신 자전거를 이용한 선거 캠페인인 ‘블루바이크’에 사용되지 못한 용품들이 박스째 물류창고 6곳을 메우고 있었다. “쌓여 있는 박스를 보면 죽고 싶은 심정”이라는 물류 업체 대표의 얘기는 절박했다.

그후 한 달이 지났다. 희망의 4년을 이끌 민선6기가 이달 공식 출범했지만 업체들은 절망에 빠졌다. 우려했던 도산은 현실이 됐다. 물류 및 포장, 배송을 맡았던 업체 두 곳은 결국 사업장을 폐쇄했다.

업체가 최근까지 탄원서, 내용증명 등을 수차례 보냈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은 무시로 일관한다. 당시 중앙당에서 하는 일이니 걱정 말고 제작하라던 관계자들은 이제 와선 ‘모르는 일’이라고 잡아뗀다. 도리어 어려움을 호소하는 업체에 ‘이 새끼야’, ‘너 나 알아? 까불면 죽인다. 알아서 적당히 해’라는 협박성 문자를 서슴지 않는다.

선거 때마다 관련 업체들이 피해를 당한 사례가 되풀이된다. 인쇄기획사, 이벤트 업체 등이 선거 특수를 누리기는커녕 돈을 받지 못하고 자금난에 허덕이곤 한다. 2007년에는 정치권 인사로부터 ‘노란 점퍼’ 15만장을 주문받은 옷 공장이 주문자가 물건을 인수하지 않는 바람에 부채를 감당하지 못하고 공장 문을 닫았다.

새정치연합은 중앙당에서 추진했지만 일괄계약을 한 게 아니니 문제될 게 없다는 주장이다. 참 무책임하다. 구두 계약만 믿은 업체도 잘못이지만 이 점을 악용해 20만원이 든 봉투 50개와 추가 300만원까지 챙긴 관계자들의 태도는 상식 이하다.

스페인 화가 프란시스코 고야의 작품 가운데 ‘자기 자식을 잡아먹는 사투르누스’가 있다. 사투르누스는 자식의 손에 죽음을 맞을 것이라는 저주가 두려워 아이들이 태어나면 모두 삼켜버린다. 하지만 보자기에 싼 돌을 막내아들 제우스로 알고 삼키다가 결국 죽게 된다.

저주가 두렵다고 자식을 잡아먹는 게 능사일까. 마찬가지로 불편한 사실을 삼켜버리고 모른 체한다고 없었던 일이 되진 않는다. 국민의 뜻이 무엇이고 어떤 게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지 진지하게 고민하는 정치인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전국 15개 지역에서 치러지는 7·30 재·보궐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17일부터 시작된다. 더 이상 블루바이크와 같은 피해가 되풀이돼선 안 된다. 무조건 발뺌하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 듣는 시늉이라도 하는 책임 있는 태도를 기대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jukebox@seoul.co.kr
2014-07-1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