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진흥 한국종교인평화회의 사무총장
물론 그에 못지않은 엄청난 충격의 물음도 남겼다. 오랜 세월 폭력과 박해와 전쟁의 시련을 이겨 낸 한반도는 지금 과연 희망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가? 평화를 갈구하는 한반도는 진정한 평화가 ‘정의의 결과’임을 깨닫고 있는가? 참된 정의는 과거의 불의를 잊지 않으면서도 용서와 관용과 협력을 통해 그 불의를 극복하는 것임을 이제라도 받아들일 것인가? 이를 위해 사회구성원 한 사람 한 사람의 목소리를 듣고 열린 마음으로 소통하기 위해 가장 낮은 곳을 찾아 서슴없이 나서겠는가?
평화와 치유에 대해 프란치스코 교황이 보여 준 해법은 너무도 간명했다. ‘평화의 사도’로 한국을 찾은 그는 환호하는 군중 속에서 어린아이를 안아 이마에 입을 맞추고 축복하는 모습을 통해 진정한 평화를 느끼게 했다. 수많은 제왕과 독재자가 비슷한 모습을 연출하려 애썼던 모습과는 전혀 달랐다. 그에게는 거짓이 없었기 때문이다. 진정한 평화란 거짓이 없는 투명한 기쁨과 소통에 있음을 보여 준 것이다.
프란치스코 교황과의 짧은 만남을 통해 세월호 희생자 유족이 얻은 122일 만의 위안도 세월호 정국 속에 가라앉은 한국 사회가 함께 치유받는 장면이었다. 광화문광장 농성 천막을 걷고 시복 미사에 동참했던 세월호 참사 가족 대책위원회의 김형기 수석부위원장은 “가족들 한 명 한 명 눈을 맞추고 볼에 입을 맞췄습니다. 그게 힘이 되었습니다”라고 소감을 피력했다. 정치권도 풀 수 없을 만큼 꼬여 있는 세월호 정국이지만 평화와 치유를 경험케 한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다시 이곳을 찾아 한 명 한 명 눈을 맞추고 그들의 외침을 귀담아듣는다면 한국 사회는 치유를 넘어 프란치스코 교황이 강조한 ‘진정한 평화’를 이루는 ‘참된 정의의 새 길’을 열게 될 것이다.
교황의 방한이 기대와 함께 우려를 불러일으켰던 것도 사실이다. 교황은 세계 가톨릭의 수장으로 종교적 의미를 지니는 동시에 세계에서 가장 작은 나라인 바티칸을 대표하는 정치 외교적 의미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방한 목적이 순수한 종교적 차원에 머물 수만은 없다. 한국 가톨릭 내 일부에서 박근혜 정부가 교황 방한 초청에 공을 들인 사실을 거론하면서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하게 될 위험성을 경계하는 목소리를 냈던 것도 그 때문이다. 그렇지만 한국 가톨릭은 “눈물을 흘리는 사람들을 내쫓고 예수님과 사랑의 미사를 거행할 수는 없다”며 강제 퇴거 반대 입장을 취했고 프란치스코 교황 역시 한국 정부를 대표하는 대통령과 공직자, 외교관들 앞에서 “사회구성원 한 사람 한 사람의 목소리를 듣고 열린 마음으로 소통과 대화와 협력을 증진시켜 나갈 것”을 촉구해 이런 우려를 불식했다. 오히려 그의 검소하고 소탈한 태도와 꾸밈없이 인자한 행동은 마음으로부터 우러나는 존경심을 불러일으켰고, 그 존경심은 인간의 이기심과 편 가르기를 뛰어넘는 놀라운 현상을 보여 줬다는 점에서 한국 사회에 길이 남을 값진 유산을 남겼다.
이제 한국 사회는 이러한 울림과 물음을 남기고 떠난 그에게 답할 차례다. 정치지도자들에게서 진정 어린 파격을 보기 힘들었던 이 땅의 백성에게 보여 준 프란치스코 교황의 파격을 본받아 즉각적인 행동에 나서야 할 것이다. 경제지도자들은 경제발전을 경제적 개념으로서가 아니라 궁극적으로 사람 중심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충고를 가슴 깊이 새겨야 한다. 그리고 종교지도자들은 그가 이 땅에 가톨릭의 힘을 보여 주려 한 게 아니라 종교 본연의 힘을 보여 주려 한 것임을 새롭게 깨달아야 할 것이다. 이런 깨달음을 모아 나갈 때 한반도의 평화와 치유를 향한 새로운 길이 열리게 될 것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한국을 떠난 뒤에도 틀림없이 그 인자한 사랑의 미소를 머금고 우리를 바라보고 또 지켜보고 있을 것이다. 마치 애인의 답장을 기다리며 설레는 연인처럼.
2014-08-19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