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에 따르면 2013년 말 사망인구는 26만 6500명으로 하루 평균 730명이 사망한 셈이다. 화장률이 74%이니까 나머지 인원이 매장된다면 적어도 8만구에 이른다. 묘지면적 1인당 10㎡ 이내로 계산하면 축구장 125개 면적에 해당된다. 고령화가 심한 농촌 지자체의 경우 매장률이 60%대여서 국토 잠식은 더해갈 전망이다.
장사문제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데 장례식장, 화장터와 묘지 등 장사시설을 혐오시설로 보는 인식은 여전하다. 일본은 주택가에 화장터가 있고 프랑스 파리의 페르 라세즈는 매일 수천명의 관광객이 찾는 세계적인 공원묘지다.
장지와 묘지관리는 국토를 관리하는 일이다. 묘지는 신고제이고 최고 60년까지 연장할 수 있다. 산 사람도 땅 한 평 없이 왔다 가는 사람이 많은데 죽은 사람이 경제적인 땅을 장기간 차지하고 있다면 국토 효율화 차원에서도 적절치 않다고 본다.
신도시 건설 시 지자체별로 장사 관련시설과 장지를 확보하도록 법제화하면 갈등도 줄이고 지역이기주의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공원묘지를 애초에 문화시설로 꾸며 생활공간으로 활용할 방안을 강구하자. 농촌지역의 묘지도 면적을 대폭 축소하고 일정구역을 지정하여 허가제로 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타당하다고 본다. 각계 지도자들의 솔선수범과 다양한 홍보를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우선이다.
명정식 농협안성교육원 교수
장사문제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데 장례식장, 화장터와 묘지 등 장사시설을 혐오시설로 보는 인식은 여전하다. 일본은 주택가에 화장터가 있고 프랑스 파리의 페르 라세즈는 매일 수천명의 관광객이 찾는 세계적인 공원묘지다.
장지와 묘지관리는 국토를 관리하는 일이다. 묘지는 신고제이고 최고 60년까지 연장할 수 있다. 산 사람도 땅 한 평 없이 왔다 가는 사람이 많은데 죽은 사람이 경제적인 땅을 장기간 차지하고 있다면 국토 효율화 차원에서도 적절치 않다고 본다.
신도시 건설 시 지자체별로 장사 관련시설과 장지를 확보하도록 법제화하면 갈등도 줄이고 지역이기주의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공원묘지를 애초에 문화시설로 꾸며 생활공간으로 활용할 방안을 강구하자. 농촌지역의 묘지도 면적을 대폭 축소하고 일정구역을 지정하여 허가제로 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타당하다고 본다. 각계 지도자들의 솔선수범과 다양한 홍보를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우선이다.
명정식 농협안성교육원 교수
2014-10-2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