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자 알프레트 아들러는 아무리 어려워 보이는 관계라 할지라도 서로 마주하는 것을 회피하거나 관계 개선을 위한 일을 뒤로 미루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어려울수록 관계 개선을 위한 용기가 필요하다는 의미다.
홍용표 통일부 장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홍용표 통일부 장관
분단 70년, 광복 70년인 지금 남과 북의 주민들이 분단으로 겪고 있는 아픔을 하루속히 치유하기 위해 노력할 때다. 과거에는 하나의 민족으로 함께 살아왔지만, 지금은 북에 두고 온 가족을 만날 수 없고, 고향이지만 멀리서 바라만 보아야 하고, 서로를 향해 총부리를 겨누고 있는 것이 분단의 현실이다.
70년간의 분단이 더이상 지속돼서는 안 되며, 분단 극복 노력을 멈추어서는 안 된다. 우리 미래세대에게 분단의 아픔이 아닌, 통일이라는 축복된 삶의 터전을 물려주기 위해 실질적 통일 준비에 나서야 한다.
5일 첫 삽을 뜬 경원선 남측 구간 복원 사업은 통일 준비를 위해 만남의 통로를 열어 가겠다는 의지를 실천한 것이다. 경원선은 예전부터 한반도의 동서를 가로지르며 사람과 물류를 수송했다. 그리고 서울에서 최단 거리로 시베리아횡단철도와 연결되는 철길이기도 했다. 그렇기에 경원선 복원은 단순한 철길의 연결을 넘어 평화와 협력의 통로를 만든다는 것이며, 통일 한국의 비전을 실천하기 위한 첫걸음인 것이다. 비록 우리가 먼저 남측 구간 경원선 복원을 시작하지만, 이것은 현재 상황에서 먼저 할 수 있는 일에 최선을 다한다는 우리 정부의 의지가 담긴 것이다.
앞으로 남북한이 평화롭게 지내기로 약속하고 철길과 함께 민생·문화·환경의 통로를 열어 사람과 물자 그리고 마음과 마음이 오고 간다면, 한반도는 명실공히 하나의 생활 터전으로 재탄생할 것이다. 나아가 대륙과 해양을 연결해 유라시아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유럽과 아시아가 복합 물류 네트워크로 연결돼 거대 시장이 만들어지고, 문화 교류가 더욱 활발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아직 갈 길이 멀다. 무엇보다 북한이 아직 우리가 내민 협력의 손길을 잡을 준비가 돼 있지 않은 것 같다. 그렇다고 마냥 기다리기만 하며 시간을 흘려보내서는 안 된다. 정부는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의 기조하에 남과 북이 함께할 수 있는 분야부터 해 나갈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가 먼저 제안하고 적극적으로 실천해 북한의 망설임을 행동으로 변화시키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다.
실천이 협력을, 협력의 반복이 신뢰를 가져올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로 자주 만나 소통함으로써 서로에 대한 경계심을 낮추고, 서로가 서로에게 도움이 된다는 확신으로 신뢰의 크기를 키워 나가야 한다.
두 개의 레일은 침목으로 연결돼야 튼튼한 철길이 된다. 통일 한국이라는 종착역에 다다르기 위해 우리 정부와 국민이 마음을 모아 협력의 침목을 하나하나 깔아야 한다. 그리고 그 마음이 전해져 북한이 손을 내밀 때, 그 손을 꼭 잡고 신뢰와 평화의 철길을 연결한다면 평화통일의 철마가 힘차게 달릴 수 있을 것이다.
북한도 이러한 협력과 신뢰 형성의 길에 동참하기를 바란다. 우리의 진정성을 의심하고, 마냥 멈춤의 단계에 머물러 있어서는 안 된다.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해 용기 있는 북한의 모습을 기대한다.
2015-08-06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