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배용 전 국가브랜드 위원장·전 이대 총장
예로부터 임금이 즉위하면 종묘사직에 고한다는 말이 있다. 1392년 조선왕조를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1395년 경복궁 동쪽에 종묘, 서쪽에는 사직단을 설치하여 국가의 정신적 지주로 삼았다. 종묘는 하늘에 올라가신 왕실의 조상을 제사 지내는 사당이고, 사직은 사단과 직단의 두 단으로 조성된 토지신에게 제사 지내는 곳이다.
즉, 사단(社壇)은 국토안보를, 직단(稷壇)은 풍년을 기원하는 네모난 단이다. 바로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는 천원지방(天圓地方)의 원리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니까 종묘를 통해서는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아니 흔들린다는 국가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곳이고, 사직을 통해서는 백성을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보호하는 국토안보의 임무와 오곡을 풍성하게 하여 민생을 안정시켜야 하는 두 가지 기능이 임금이 해야 할 필수 덕목인 점을 깊이 인식시키는 곳이다.
종묘는 1995년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유교의 이상과 정신을 가장 장중하면서도 소박하게 구현한 목조 건축의 우아한 절제미를 세계유산 심의에서 인정받은 것이다. 종묘에 들어가면 정전(正殿)과 영녕전(永寧殿)이 있는데 왕과 왕비의 신주가 모셔져 있다.
정전은 처음에는 태조와 현 왕의 4대조에 해당하는 왕과 왕비의 위패를 모시고, 4대가 넘어가면 정전 서편의 영녕전으로 옮기는 것이 원칙이었다. 그러나 4대가 넘어도 공적이 뛰어난 왕들은 계속 정전에 모셨기 때문에 정전의 규모는 세월이 지나면서 늘어나 현재 정전(正殿)만 해도 19실 49위가 된다. 영녕전에는 16실 34위가 봉안되어 있다.
종묘의 대제(大祭)는 요즈음은 5월 첫 번째 일요일에 지내지만, 조선시대에는 여러 제사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중요한 제사였기 때문에 사계절의 첫 달과 12월에 날을 잡아 1년에 5차례 지냈다. 사직의 제례로는 1년에 네 차례의 대향사와 정월의 기곡제, 가뭄 때의 기우제가 있었다.
종묘제례는 돌아가신 이를 기리고 제례를 올려도 슬픔이 아니라 축제였다. 왜냐하면 하늘에 올라가신 분의 공적과 영혼이 이 땅에 이어져 나라의 번영을 이루어 준다는 기원이 서려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종묘제례악의 장엄한 음악도 연주되고 문신의 춤, 무신의 춤도 이어진다. 종묘제례 때 줄을 지어 추는 춤을 일무(佾舞)라고 하는데 부드러움과 힘참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일무는 문덕을 칭송하는 문신의 춤인 보대평과 무공을 칭송하는 정대업으로 구분된다. 종묘제례악과 제례무는 유네스코 유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한편 종묘의 정전 앞 마당 끝에 공신당과 칠사당을 건립했다. 공신당에는 왕을 도와 공헌한 신하들의 신주가 83위 봉안돼 있다. 칠사당에서는 왕가와 궁궐의 모든 일과 만백성의 생활이 아무 일 없이 잘 풀리도록 네 계절의 운행과 관련되는 신들에게 제사를 지냈다. 봄의 사명(司命·삼명의 감찰을 주관)과 호(戶·출입을 주관), 여름의 조(?·음식을 주관), 가을의 문(門·출입을 주관)과 여(?·살벌을 주관), 겨울의 행(行·도로의 행작을 주관) 등을 모시고 제사를 지냈다.
종묘와 사직에서 오늘도 지도자들이 배워야 할 덕목은 조화의 지혜가 깃들어 있다는 점이다. 하늘과 땅의 조화, 과거·현재·미래의 조화, 산 자와 죽은 자의 조화, 문무의 조화, 왕·신하·백성의 조화이다. 지도자는 하늘의 마음을 품고 순리의 정치를 해야 하며, 대자연을 통한 생명력의 존중과 백성의 삶을 챙기면서 꿈을 심어주는 책임의 정치를 구현해야 함을 일깨워 주는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지도자는 작은 것도 큰 것도, 약한 것도 강한 것도 함께 헤아리고 아우를 줄 아는 균형과 조화의 리더십을 발휘할 때 희망의 미래를 펼칠 수 있을 것이다.
종묘와 사직에서 오늘도 지도자들이 배워야 할 덕목은 조화의 지혜가 깃들어 있다는 점이다. 작은 것도 큰 것도, 약한 것도 강한 것도 함께 헤아리고 아우를 줄 아는 균형과 조화의 리더십을 발휘할 때 희망의 미래를 펼칠 수 있을 것이다.
2012-10-11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