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현웅 변호사
그런 와중에도 뭔가 개운치 않고 다소 불만스러운 지점도 존재했으니 의문이나 반대의견을 좋아하지 않는, 아니 허용하지 않는 분위기 때문이었다. 비겁했던 탓이기도 하겠지만 그 시절의 분위기는 다른 생각을, 다른 목소리를 배척하는 분위기가 분명히 팽배했었다.
그런 분위기에서 의문이나 반대의견의 욕구를 애써 억누를 수밖에 없었으니 지식과 경험의 한계로 인한 거대 담론의 권위와 현장에서 들려오는 아픈 목소리들 때문이었다. 아니 이러한 변명 또한 겁쟁이의 위선일 뿐이고 그들이 쳐 놓은 울타리 밖으로 밀려나는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었다고 말하는 것이 더 솔직한 고백일 것이다. 그 시절에는 울타리가 가리키는 시시비비가 대체로 분명했기에 울타리에서 밀려나는 것은 존재의 부정만큼 큰 고통이었다.
자신의 생각을 몸소 실천하며 고초를 겪은 그들에 대한 채무의식이 더하여 사회인이 돼서도 울타리가 주는 동류의식에 취해 그들을 비판하거나 그들이 주도하는 사회운동 분위기를 거스르려는 생각조차 하지 못했다.
그러나 나이를 먹어 가며 다양한 경험들 속에서 진실에 정면으로 맞닥뜨리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그 견고한 울타리를 벗어나야겠다는 내면의 소리가 꿈틀거리기 시작했다. 목이 터져라 부르짖었던 민주주의 사회의 시민이라면 어쩌면 자연스러운 모습이었고 무조건 우리 편이 옳다는 패거리 의식에서 벗어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다.
동전만 양면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테두리도 있고 어느 각도에서 보면 같은 면이라도 다른 모습으로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듯 어떤 현상을 보고 판단하는 옳고 그름의 문제는 매우 다양한 양태를 띨 수밖에 없다. 여기에 그 판단의 동기와 배경까지 따져 보면 옳고 그름의 문제는 함부로 단정할 것이 아니고 따라서 자신의 의견만이 옳다고 무작정 강변하기 어려운 것이 민주주의 사회의 정상적인 모습이다.
무엇보다도 민주주의 사회라고 말하기 위해서는 특정 권위에 도전하는 사회적 표징이 존재해야 하고 남들이 모두 ‘예’라고 말하는 것에 ‘아니요’라고 말할 수 있는 기회가 활짝 열려 있어야만 한다. 그런데 시시비비가 대체로 분명했던 시절에 민주주의를 소리 높여 외치면서도 시시비비가 분명했기에 오히려 특정 권위에 대한 도전을 허용하지 않고 ‘아니요’라는 말을 기꺼이 내뱉을 수 있는 기회를 봉쇄했었던 과거 모습이 촛불정국을 거치며 반복되고 있는 것 같아 걱정이다.
촛불정국을 거쳐 대통령을 탄핵한 경험을 가진 우리가 진정으로 수호하고자 했던 것은 민주주의였다. 민주주의를 수호하고자 했던 시민들의 모습은 정말로 존경받아 마땅했고 전 세계를 놀라게 했다. 그러나 촛불정국에서 시시비비가 분명했던 만큼 촛불정국의 연장인 지금의 사회에서도 자신의 의견만이 옳다고 강변하는 분위기 또한 팽배한 것도 사실이다.
사회 여러 분야에서 목소리 큰 자들의 강변이 분위기를 한껏 주도하면서 ‘아니요’라고 말하고 싶은 자들을 주눅 들게 한다. 그리고 자신들의 의견과 다른 너희들은 틀렸다고 몰아붙이는 듯하다. 패거리를 지어 가며 말이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적극적인 시민 참여는 더욱 권장해야 하고 그러한 참여만이 민주주의를 수호할 수 있는 최후의 보루임은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성숙하지 못한 참여로 인한 목소리 큰 자들이 주도하는 사회는 오히려 민주주의의 적이 될 수도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촛불정국의 과도기적 현상이라면 다행이겠지만 민주주의를 수호하고자 했으나 역설적으로 다양성의 존중이라는 민주주의의 표징을 허물어뜨리는 결과로 이어진다면 우리가 그토록 수호하고자 했던 민주주의를 스스로 파괴하는 꼴이 될 수밖에 없다. 우리 사회가 아직은 건강하다고 믿으며 이러한 걱정이 기우이길 바랄 뿐이다.
2019-08-22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