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eye]응답하라, 어린이보호구역의 금연구역 지정/조연우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아동기자단

[아이eye]응답하라, 어린이보호구역의 금연구역 지정/조연우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아동기자단

홍지민 기자
홍지민 기자
입력 2019-01-13 15:08
수정 2019-02-07 09: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조연우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아동기자단
조연우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아동기자단
최근 2년 동안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의 어린이옹호 서포터즈 활동을 하며 우리 주변에서 아동의 권리가 얼마나 많이 침해되고 있는지 알게 됐다. 그 중 하나가 내가 살고 있는 경상남도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이 금연구역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 같은 사실을 처음 알게 됐을 때 충격적이었다. 어린이보호구역은 학교 주출입문을 중심으로 300m 이내를 말한다. 이곳은 어린이를 학교 주변의 위험으로부터 지켜주기 위해 만들어진 구역이다. 그런데 몸에 해로운 담배를 아이들이 다니는 어린이보호구역에서 피워도 된다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 스스로를 담배 연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어린이보호구역을 금연구역으로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통학로 흡연 실태를 직접 조사하기도 했고, 지난해 지방선거를 앞두고는 경상남도지사 후보자들에게 통학로 금연구역지정을 공약으로 요청하기도 했다. 지난해 9월에는 경상남도녹색어머니연합회와 함께 기자회견도 열었고 관련 영상도 제작해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어린이보호구역은 담배연기로 가득하다. 매일 등굣길에 담배연기를 맡으면 코를 막고 지나가거나 숨을 참고 빠르게 지나가게 된다. 담배연기를 피하려고 차도로 다니는 아이들도 있다. 보건 시간에는 담배가 몸에 아주 해롭다고 배우는데 학생들은 그 해로운 것을 매일 보고 매일 맡아야 한다. 담배꽁초가 잔뜩 떨어져 있는 등굣길도 기분이 좋지 않다. 이젠 깨끗한 바닥과 깨끗한 공기 속에서 학교를 다니고 싶다.

왜 바뀌지 않았을까? 어른들이 한 번만 어린이들을 더 생각하고 조금만 더 관심을 기울여 준다면 어린이들이 상쾌한 공기를 마시며 등교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의 노력이 헛되지 않고 아동이 건강하고 행복한 세상을 향해 조금이라도 더 나아갈 수 있는 활동이 되었으면 좋겠다.

우리는 어린이보호구역이 금연구역이 되어 아동들의 건강이 보장받기를 바란다. 어른들이 아동의 권리에 조금 더 관심을 가져주고 지켜주려고 노력한다면 어린이보호구역의 금연구역 지정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아이들의 권리가 보호받을 것이다. 어린이를 먼저 생각하는, 그래서 변화하는 사회가 되려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하루 빨리 어린이보호구역이 금연구역으로 지정되면 좋겠다. 우리의 요청에 어른들이 빨리 답해주길 바란다.

*서울신문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함께 어린이, 청소년의 시선으로 사회 현안을 들여다보는 ‘아이eye’ 칼럼을 매달 1회 지면에, 매달 1회 이상 온라인에 게재하고 있습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