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간이란 말은 물리학적으로 무엇인가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을 뜻하고, 우리가 흔히 말하는 물리적 공간은 그 주체가 사람이며, 사람들이 머물며 어떤 행위를 하는 공간이다. 공간은 인지하는 존재가 있어야 공간으로 인정받는다. 우리 의식이 닿지 않는 곳에 어떤 공간이 있다 해도 인지되지 않으므로 존재하지 않는 공간으로 취급된다. 불과 얼마 전까지 경제적 가치를 가진 물리적 공간은 우리 눈에 보이는 소유가 가능한 영역이며 건축 등의 행위가 그 영역을 한정했다.
그러나 요즘 공간이란 단어는 무한히 변신한다. 물리적 공간은 더 전문적인 공간으로 세분되고 발전하며 공간이라는 단어 앞에 전문 영역의 이름이 붙어서 ‘○○공간’이라고 부르거나 형이상학적 의미를 담은 공간과 가상공간을 포함해 다양한 이름을 가진 공간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사람들이 직접 움직이고 머무는 공간에서 유선·무선으로 이어진 온라인 공간으로 소통의 장이 이동하고 있다. 화상통화를 하고 증강현실(VR)로 가상공간을 체험하고 상대방을 만난다. 그 외에도 형상이 없는 것으로 구성된 공간, 형상이 없는 것들을 담는 공간의 개념도 많이 유통되고 있다.
신문 등의 지면을 지면공간이라 하고 인터넷의 홈페이지나 쇼핑몰 등은 인터넷 공간이라 한다. 현대의 공간은 사람의 의식이 담기고 움직이면 물리적 부피와 상관없이 공간으로 취급된다. 이 중 사람이 직접 머물고 체험하는 물리적 공간들을 작은 의미의 공간이라 한다면 그 공간의 대부분은 건축 등의 행위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이다. 이 물리적 공간은 구획돼 그 성격이 규정되며 경제적 가치를 평가받는다.
사용하지 않는 공간은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다. 건축에서 해당 부지에 얼마나 큰 면적의 공간을 구획할 수 있느냐를 판단하는 법적 용어가 용적률이다. 용적률이 높은 지역일수록 땅값이 비싼 것은 공간의 사용 권리가 그만큼 크다는 것이다. 결국 토지의 비용은 미래 공간 사용권의 가치인 것이다. 공간의 가치는 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직간접적인 경제활동의 총합이다.
또 공간은 어떻게 꾸미고 쓰이냐에 따라서 사람들에게 예술품처럼 감동을 주기도 한다. 다양한 공간을 접할수록 공간에 대한 욕구는 구체적이고 다양해진다. 공간의 크기와 위치, 기능들이 합쳐진 가치가 가격이므로 공간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있다. 세부적 기능에 맞게 특화된 전문성 있는 공간이나 여러 복합 기능을 수행하도록 가변성을 장착한 복합공간, 공간의 활용을 최대치로 끌어올린 짜임새 있는 공간들, 4차혁명 시대에 맞게 첨단기술로 무장된 공간까지. 이러한 공간의 맞춤 서비스는 건물을 팔고 사는 것이 아니라 공간을 팔고 사는 것으로 바뀔 것이다.
공간을 거래하는 시장은 건축의 개념도 바꿀 것이다. 인터넷상의 사이버 공간이 온라인 쇼핑을 넘어 지면이나 공중파 방송으로 하는 모든 것을 대체해 가고 있다. 물리적 공간들은 이제 부피가 없는 인터넷 공간과도 경쟁해야 하며 일부 기능들은 인터넷 공간에 밀려 사라질 수도 있다. 공간의 디자인은 눈으로 보이는 모양을 미려하게 꾸미는 것이 아니다. 공간의 기능이 다양해지고 전문화·첨단화되는 것에 맞춰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일종의 편집 행위에 가까워지고 있다.

최세일 한건축 대표
2019-03-0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