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빛 발견] 우리말과 권리/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우리말과 권리/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7-10-18 23:16
수정 2017-10-19 00: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어문팀장
“우유는 밀크보다 싸다. 이것이 우리 말글의 오늘이다.”

오래전 국어운동을 하는 지인이 건넨 말이다. 빵집에서는 ‘우유’를 내놓고, 호텔에서는 ‘밀크’를 판다고 했다. ‘우유’ 대신 ‘밀크’라는 이름을 붙인 물건의 가치는 높아졌고, 자연스레 가격도 올라갔다. ‘밀크’를 대하는 소비자들의 인식도 닮아 갔다. 제품의 질보다 영어의 가치를 더 높게 쳐 주는 데 동의해 간 것이다.

우리말의 가치와 소중함을 말하고 인정하면서도, 정부도 학교도 기업도 영어의 가치를 더 높게 여기고 끌리는 모습을 보인다. 오래된 풍경이어서 변화를 바라기가 쉽지 않다.

올해 한글날을 맞아 국민권익위는 지난 3년 동안 국민신문고에 들어온 우리말 사용 관련 민원을 공개했다. 공공 시설물이나 간판의 틀린 맞춤법을 지적했으며, 외국어를 많이 사용한 것에 대해서는 실망감을 나타냈다. 더 쉬운 말로 하라는 질타였다.

1979년 영국에서는 ‘쉬운 영어 운동’이 시작됐다. 어려운 말 때문에 목숨을 잃는 사건이 발생한 데서 비롯한 운동이다. 정부, 공공기관, 기업, 사회단체의 언어가 쉽게 바뀌어 갔다. 언어 인권 운동이었다. 알권리가 있다는 것이다. 이 운동은 정부와 기업들에 대한 믿음을 높이기도 했다.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는 ‘언어는 인권이다’라고 한다.

wlee@seoul.co.kr
2017-10-1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