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지방선거에서 그를 뽑았다.” ‘뽑다’는 ‘뽑았다’로 쓰일 때도, ‘뽑아, 뽑으니, 뽑는’일 때도 받침 ‘ㅂ’이 그대로 있다. 변하지 않는다. ‘눕다, 줍다, 가깝다’ 같은 말들과 다르다. 이 말들은 ‘ㅂ’이 ‘우’로 바뀌어 나타난다. ‘누운, 주운, 가까운’처럼 활용된다.
‘-스럽다’가 붙는 말들도 같다. ‘자연스럽다, 자랑스럽다. 맛깔스럽다’도 ‘자연스러운, 자랑스러운, 맛깔스러운’처럼 ‘ㅂ’이 ‘우’가 된다. 그런데 이 말들은 여기서 더 나간다. 줄어서 ‘-스런’으로 쓰이기도 한다. 입말에서는 그럴 때가 더 많다. 입말을 그대로 옮겨 글에서도 ‘자연스런, 자랑스런, 맛깔스런’이라고 하는 예가 흔하다.
‘-스런’이 오래된 쓰임이지만 여전히 시비가 붙는다. 맞춤법에 맞지 않는다고 한다. 움찔할 수밖에 없다. ‘ㅂ’을 ‘우’로 적는 게 원칙이라는 것이다. ‘가까운’, ‘고마운’, ‘아름다운’ 같은 말들에서는 반드시 ‘우’가 된다고 한다. 그러니 여기에 맞추는 게 옳은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지적 앞에서 ‘-스런’은 틀린 말이 돼 버린다.
한데 정확히 말하면 ‘-스런’은 맞춤법의 문제는 아니다. 표준어와 비표준어의 문제다. 그러니까 틀리고 맞고의 문제라고 볼 수 없다. ‘-스런’이 비표준어라면 표준어를 선택할 것이냐, 비표준어를 선택할 것이냐의 문제가 된다. 선택은 자유다. ‘-스런’이 틀렸다는 지적은 언어생활을 어렵게 할 뿐이다.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스런’이 오래된 쓰임이지만 여전히 시비가 붙는다. 맞춤법에 맞지 않는다고 한다. 움찔할 수밖에 없다. ‘ㅂ’을 ‘우’로 적는 게 원칙이라는 것이다. ‘가까운’, ‘고마운’, ‘아름다운’ 같은 말들에서는 반드시 ‘우’가 된다고 한다. 그러니 여기에 맞추는 게 옳은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지적 앞에서 ‘-스런’은 틀린 말이 돼 버린다.
한데 정확히 말하면 ‘-스런’은 맞춤법의 문제는 아니다. 표준어와 비표준어의 문제다. 그러니까 틀리고 맞고의 문제라고 볼 수 없다. ‘-스런’이 비표준어라면 표준어를 선택할 것이냐, 비표준어를 선택할 것이냐의 문제가 된다. 선택은 자유다. ‘-스런’이 틀렸다는 지적은 언어생활을 어렵게 할 뿐이다.
2018-06-14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