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학생들이 주로 범하는 글쓰기 오류는 종류가 다양한데,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피동형의 무분별한 사용이다. 필요한 경우라면 마땅히 피동형을 써야 하겠지만, 피동형을 쓰면 오히려 글을 망치거나 심지어 문법적으로 오류를 범하는 곳에서도 피동형을 남발한다. 글 전체가 마치 ‘피동형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 같은 보고서를 갈수록 더 자주 대한다. 대학생과 대학원생의 글이 이 지경이니, 우리 사회의 언어 습관이 피동형 표현에 심하게 물들었음을 보여 주는 하나의 지표라 할 수 있다.
아주 흔한 경우로 “이 사건을 계기로 사람들의 공포감이 확산되게 되었다”와 같은 문장을 들 수 있다. ‘되다’라는 피동형을 이중으로 사용한 탓에, 글의 품격을 현저히 떨어뜨린 사례다. “확산되었다”고 쓰면 될 일을 이중 피동형을 사용해 되레 문장을 망친 꼴이다. 그런데 “확산되었다”도 최선은 아니다. 우리말 표현에서 최선은 “확산하였다”이다. ‘확산하다’는 말 속에는 이미 ‘흩어져 널리 퍼지다’는 의미가 들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게 바로 최선의 표현이다.
무엇을 꼭 해야 할 때, “해야 돼”보다는 “해야 해”가 더 적절한 표현이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해야 한다”는 표현이 주류였다. 그런데 지금은 어떤가? 주변에서 “해야 해”라는 표현을 들어본 적이 언제인지 기억이 흐릿할 정도다. 온통 “해야 돼”라는 표현만 난무한다. 학술논문에서 저자의 견해를 조심스레 표현할 때 종종 등장하는 “~라고 여겨진다”라는 표현도 눈에 거슬리기는 매한가지다. “~라고 생각한다”고 쓰면 충분할 텐데, 굳이 ‘여겨진다’는 표현을 선호한다. 그래도 이런 정도의 피동형이라면 글쓴이의 글쓰기 수준이나 성향으로 봐줄 수 있다. 문법적으로는 틀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심각한 것은 피동형을 너무 강조하다가 아예 오류를 범한 경우다. “~라고 보여진다”는 표현은 그 좋은 사례이다. ‘보인다’가 이미 피동형인데, 그것을 억지로 이중 피동으로 만든 게 ‘보여진다’로, 국어사전에도 없는 틀린 말이다. “잘 짜여진 플랜” “잘 쓰여진 예산” “널리 읽혀진 책” 등이 모두 그런 사례다. “잘 짠 계획” “잘 쓴 예산” “널리 읽힌 책”으로 고쳐 쓰는 게 최선이다. 피동형의 오남용 사례는 너무 많아서, 마치 피동형 바이러스가 창궐한 느낌이다. 이제는 글을 읽을 때도 방독마스크를 써야 하지 않을까 걱정이다.
피동형 표현 난무의 1차 원인은 아무래도 수동태 표현 천지인 영어의 융단폭격 때문인 것 같다. 학생들에게 물어보니, 심지어 요즘엔 중고등학교에서 영어 문법은 배우되 한국어 문법은 안 배운단다. 그러니 주어를 생략하는 묘미로 가득한 우리말의 특성을 모른 채 피동형을 지나치게 사용하는 것 같다.
그런데 사회의 양극화가 심해지던 1990년대부터 금세기 들어 이런 현상이 본격화한 점을 감안할 때, 위계적 상하구조 ‘갑질’문화가 창궐하면서 피동형 표현이 급증한 것은 아닐까? 능동형 삶보다는 피동형 삶을 살 수밖에 없는 현재 사회구조에 찌들어 나타난 언어습관의 변화는 아닐까라는 것이다. 코로나바이러스도 피동형 바이러스도 속히 물리치고 건강과 상식을 회복하면 좋겠다.
2020-02-07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