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준 명지대 정치학 교수](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1/05/SSI_20100105173015.jpg)
![김형준 명지대 정치학 교수](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1/05/SSI_20100105173015.jpg)
김형준 명지대 정치학 교수
여하튼 이런 여론 조사 결과는 ‘박근혜 대세론’으로 상징되는 ‘박근혜 현상’을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 해 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국민들은 비록 같은 한나라당 소속이라도 박 전 대표가 일방적으로 국정을 운영하는 MB를 견제할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이라고 깊이 인식하는 것 같다. 이런 독특한 ‘박근혜 현상’은 민주당에는 양날의 칼로 다가선다. 국민들은 작금의 야당이 MB 정부를 효율적으로 견제할 수 있는 능력도, 인물도 없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 셈이다. 손학규 대표의 지지도가 15% 벽을 넘지 못하는 것도 이런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한편, 국민들이 박 전 대표를 지지하는 이유가 ‘박근혜가 좋아서가 아니라 이명박이 싫기 때문’이라는 것도 확인된 만큼 야당에는 고무적이다.
시간이 흐를수록 박 전 대표를 ‘여당 내 야당’으로 보는 생각이 줄어들고, 박 전 대표가 탈당하지 않는 이상 MB와 한배를 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박근혜 대세론’은 요동칠 여지가 충분히 있다. 향후 MB와 박 전 대표를 동일하게 인식하는 ‘동인화 현상’이 나타나면 박 전 대표가 그동안 누렸던 반사이익도 줄어들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한나라당은 반값 등록금에 몰입할 만큼 여유롭지 못하다. 국민들이 인식하는 정권 재창출에 대한 의미를 넘어 한나라당이 진정 재집권에 성공하려면 몇 가지 치명적인 착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첫째, ‘야당 후보로 누가 나와도 된다.’는 대세론에 대한 착각이다. 범야권 후보가 정해지지 않았고, 선거구도도 어떻게 짜여질지 모르는 상황에서 현재의 대세론은 언제라도 무너질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둘째, ‘진보 세력이 무능하기 때문에 보수층이 늘 수밖에 없다.’는 보수 강화론에 대한 착각이다. 보수는 강화된 것이 아니고 진보가 하락하면서 마치 보수가 강화된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진보에서 이탈한 많은 사람들이 중도로 전환하면서 중도가 강화되고 있다. 보수에 대한 이미지는 여전히 부정적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셋째, ‘내년 대선 경선이 끝나면 한나라당은 결국 하나가 될 것이다.’ 라는 당 화합에 대한 착각이다. 한나라당 내 친이-친박은 왜 한나라당이 재집권해야 하는지, 한나라당이 재집권하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국민들을 설득하지 못하고 있다. ‘가치를 공유하지 못한 분열은 패배를 낳고 자기 것을 버리는 화합은 승리를 잉태한다.’ 는 점을 깊이 유념해야 할 것이다. 넷째, 내년 총선에서 지더라도 대선에서는 이길 수 있다는 착각이다. 내년 총선에서 한나라당이 과반수 확보에 실패해 ‘여소야대’ 정국이 만들어질 경우, 한나라당 재집권 가도는 가시밭길이 될 것이다. 야당이 주도하는 국회에서는 연일 MB 정부의 실정에 대한 국정조사, 청문회 등이 열릴 것이다. 더욱이, 진보 언론 등에서 한나라당 유력 대권 후보에 대한 의혹을 제기할 경우, 국회 차원의 검증 작업이 본격화할 것이다.
다음 달 4일로 예정된, 새 대표 선출을 위한 한나라당 경선에서는 한나라당 구성원 모두 이런 착각의 늪에서 벗어나 새로운 한나라당을 위한 고난의 학습을 시작해야 할 것이다. 그때만이 한나라당이 역동적이고 매력 있는 정당으로 거듭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고, 지금까지 경험해 보지 못한 괴이한 ‘박근혜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이다.
2011-06-1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