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택규의 문화 잠망경] 아버지 같은 사람이 되긴 싫다/번역가

[김택규의 문화 잠망경] 아버지 같은 사람이 되긴 싫다/번역가

입력 2023-01-02 20:24
수정 2023-01-02 23: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택규 번역가
김택규 번역가
몇 주 전 오전 수업을 마치고 나서 학생 몇 명과 건물 앞 쉼터에서 여느 때처럼 잡담을 나누고 있었다. 그들과 함께 이야기를 주고받은 십 분 남짓은 지난 학기 내내 홀가분하고 유쾌하면서도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그럴 만도 한 것이 ‘중한번역실습’이라는 그 수업에서는 29명이 매주 번역 과제를 내고 내가 그 과제들을 일일이 검사한 뒤 수업 시간마다 학생들과 번역문을 놓고 토론을 벌였기 때문이다.

이렇게 선생으로서 할 일이 많다 보니 아무래도 수업이 끝나면 홀가분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학생들과 수업 시간에 못다 한 이야기를 나누고 그들의 일상사까지 들을 수 있으니 당연히 유쾌하고 의미도 있었던 거다.

그날의 화제는 주거 문제였다. 입술에 피어싱을 한 여학생이 갑자기 전세대출 이자가 뛰어서 이자 부담 때문에 월세방으로 옮겨야겠다고 투덜댔다. 부모님께 도움을 청하면 안 되느냐고 했더니 그 여학생은 대학 생활 내내 등록금도 용돈도 자기가 벌었다며 부모님께 부담을 주고 싶지 않다고 했다. 바로 그때였다. 또 다른 여학생이 갑자기 내 어깨를 툭 치며 말했다.

“쌤, 좋은 줄 아세요, 우리가 쌤이랑 이렇게 얘기해 드리는 걸요.”

순간 학생들이 다 깔깔 웃었고, 나는 깜짝 놀라 할 말을 잊었다. 그런데 이렇게 무례한 일을 당했는데도 전혀 불쾌하지 않았다. 오히려 흐뭇해서 입꼬리가 올라갔다. 고마워. 내게 선입견 없이 솔직하게 이야기해 줘서.

처음 대학 강의를 시작했을 때 학생들은 내 동생뻘이었다. 적게는 대여섯 살 차이밖에 안 났다. 그 후로 20여년이 지나면서 나는 그들의 삼촌뻘이 됐다가 어느새 아버지뻘로 올라갔다. 하지만 나는 그들의 오빠나 형 같은 선생, 삼촌 같은 선생 그리고 아버지 같은 선생은 아니었고 그렇게 되고 싶지도 않았다. 왜 우리는 연령차에 따라 인간관계를 친족관계의 정형적 틀에 맞추려는 걸까. 상사가 형도 아니면서 후배 직원에게 “막내동생 같아서 하는 말인데…”라고 하고, 사장이 가장도 아니면서 직원들에게 가족 같은 직장문화 운운한다. 이런 인간관계 규정은 지극히 편의적이고 권력 지향적이다.

몸이 반세기를 묵었으니 정신도 파릇파릇할 리는 없지만 그래도 주변의 젊은이들과 나이를 떠나 항상 새롭고 개별적인 관계를 맺고 싶다. 장유유서와 사제지간의 틀 속에서 으레 주어지는 역할을 기계처럼 수행하고 싶지 않다.

그래서 나는 그 여학생의 불손함이 반가웠던 것이다. 그가 나를 아버지 같은 사람이나 선생이 아니라 대등한 위치의 한 인격체로 보고 소통하고 싶어 하는 듯했다. 너무나 기쁘고 감사한 일이었다.

나는 내 딸의 아버지이지만 누구에게 아버지 같은 사람이 되기는 싫다. 또 누가 내 딸과 닮았을 수도 있지만 그를 딸 같은 사람으로 대하기도 싫다. 나는 나로, 그는 그로 편견 없이 만나고 싶다.

나이 들면서 갈수록 친한 사람만 만나고픈 유혹이 크지만, 반대로 낯선 사람을 만나 활력과 자극을 얻고 싶기도 하다. 그런 활력과 자극은 아버지 같고 딸 같은 사람에게서는 결코 오지 않는다.
2023-01-0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