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해진은 이날 ‘지난해 태국 첫 팬 미팅 이후 두 번째로 여러분을 만나게 됐다’며 ‘정말 오길 잘한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런 형태의 글을 신문 기사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나 연결어미 ‘며(면서)’는 동시에 하는 행동이나 맞서는 관계를 나타낼 때 쓴다. ‘신문을 보면서 밥을 먹는다’나 ‘모르면서 아는 척한다’는 예에서 잘 알 수 있다.
신문 기사에서 인용 부호의 중간에 ‘며(면서)’를 넣는 이유는 단순히 편의상의 용도인 것 같다. 만나게 된 것과 오길 잘한 것 같다가 동시에 하는 행동도, 맞서는 관계도 아니기 때문이다. 단지 글을 읽는 사람이 좀 편히 읽을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일까. ‘며’를 생략하고 “박해진은 ‘두 번째로 여러분을 만나게 됐다. 정말 오길 잘한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다”라고 쓸 수 없을까.
신문 기사에서 인용 부호의 중간에 ‘며(면서)’를 넣는 이유는 단순히 편의상의 용도인 것 같다. 만나게 된 것과 오길 잘한 것 같다가 동시에 하는 행동도, 맞서는 관계도 아니기 때문이다. 단지 글을 읽는 사람이 좀 편히 읽을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일까. ‘며’를 생략하고 “박해진은 ‘두 번째로 여러분을 만나게 됐다. 정말 오길 잘한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다”라고 쓸 수 없을까.
2017-07-2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