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에세이/김용택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에세이/김용택

입력 2016-10-07 18:08
수정 2016-10-08 00: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에세이/김용택

한 아이가 동전을 들고 가다가 넘어졌다.

그걸 보고 뒤에 가던 두 아이가 달려간다.

한 아이는 얼른 동전을 주워 아이에게 주고

한 아이는 넘어진 아이를 얼른 일으켜준다.

넘어진 아이가 울면서 돈을 받고

한 아이가 우는 아이의 옷에 묻은 흙을 털어준다.

“다친 데 없어?”

“응”

“돈은 맞니?”

“응”

박현웅  ‘Bon bon-하늘을 보듬다’
박현웅 ‘Bon bon-하늘을 보듬다’ 홍익대 대학원 공예디자인학과 졸업, 선화랑 등에서 개인전 33회.
80㎝×52㎝ 나무에 아크릴
살아갈수록 왜 친구가 점점 사라지는 것일까? 나만 그렇다고 한다면 나에게 문제가 있는 게 분명하겠지만, 모두가 그렇게 느낀다면 그 모두에게 잘못이 있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살아갈수록 그러하다니 살아가는 곳의 문제일 공산이 가장 크다.

우리는 어떤 어른이 된 것일까? 다행히 세 명은 아이다. 남의 불행을 경쟁 구도 속에서 계산하지 않고 나의 선행을 경제 논리로 환산하지 않는다. 다행히 세 명은 친구다. 여자가 조신하지 못하다거나 남자가 씩씩하지 못하다며, 불행의 원인을 당사자의 역할 실패로 돌리는 무지막지함이 없다. 여전히 그런 친구일 때, 그들은 어느 때보다 사람이다.

며칠 전 한 대학병원을 지나가며 좋은 친구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다는 생각을 했다. 설령 불가능한 세계를 보여 줄 때조차도 시는 늘 자유로운 사람의 편에 서 있다. 그래서 시를 말하는 일을 나는 사람을 말하는 일처럼 하고 싶다.

신용목 시인

■신용목 시인은 1974년 경남 거창 출생. 고려대 대학원 국문학 박사 과정. 2000년 작가세계 신인상 등단. 2008년 육사시문학상 젊은시인상, 시작문학상 수상.
2016-10-08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