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나는 너다 182/황지우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나는 너다 182/황지우

입력 2020-03-26 17:24
수정 2020-03-27 09: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임효/상생-관계
임효/상생-관계 73×60.5cm, 수제한지에 수묵, 염색. 2004
홍익대 미술대 졸업. 동아미술제 동아미술상 수상
나는 너다 182/황지우

비오는 날이면, 아내 무릎을 베고 누워, 우리는 하

염없이 노래를 불렀다 우리가 젤 좋아하는 노래는

강물아 흘러흘러 어디로 가니

넓은 세상 보고 싶어 바다로 간다

는 동요이다

그 방주 속의 권태롭고 지겨운 시절이, 이제는 이

지상에서 우리가 누릴 수 있었던 지복한 틈이었다니!

넓은 세상 보고 싶어라 화엄의 넓은 세상

들어가도, 들어가도, 가지고 나올 게 없는

액체의 나라

나의 오물을 지우는, 마침내 나를 지우는 바다

지상에서 처음 마련한 차, 르망 스페셜이었다. 시쟁이 그림쟁이 다섯 타고 성철 스님 다비식 갔다. 돌아오는 비포장 길 펑크가 났다. 핸드폰 없던 시절. 한 시쟁이가 공구함을 꺼내 타이어 교체를 시작했다. 땀 뻘뻘 흘리며 작업에 열중하는 모습 보기 좋았다. 지복인 줄 모르고 스쳐 보냈던 순간들. 그 순간이 문득 화엄의 순간으로 다가오는 때 있다. 들어가도 들어가도 가지고 나올 게 없는 액체의 나라. 나의 오물을 지우고 마침내 나를 지우는 나라. 차체 아래 들어가 타이어의 나사를 조이던 시쟁이, 그 무렵 이 시를 썼다.

곽재구 시인
2020-03-2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