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마리안, 마가렛/강신애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마리안, 마가렛/강신애

입력 2021-02-04 17:14
수정 2021-02-05 01: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마리안, 마가렛/강신애

문드러져서 문딩이라지요
진물 흐르는 얼굴, 등허리
맨손으로 문질러 약을 발라주는 부드러운 손

환자들은 미안해 울고
없는 죄가 씻긴 듯 울고
한 달에 한 번 수탄장에서 울었지요

코발트블루 바다 바라보다
근원에 닿던 사람들
새벽, 밀려가던 파도의 서늘함이 밴
편지에는
늙어 짐 될까 떠난다는 말씀만 방울방울 맺혀 있었죠

낯선 모국에서
백사청송 그리움의 기슭에
암을 들인 마리안

요양원 찾아
소록도를 꺼내면

치매의 마가렛
방긋 웃지요

마리안 수녀님과 마가렛 수녀님을 생각하면 인간인 내 마음 안에 백합꽃이 핍니다. 두 분은 20대에 소록도에 들어와 70대까지 사십여 년 세월을 한센병 환우들을 위해 바쳤지요. 장갑이나 마스크 없이 환우들의 고름을 직접 짜고 맨손으로 환부에 약을 도포하는 것은 평범한 일상이었습니다. 평생 TV 수신도 하지 않았지요. 소록도 식당에서 두 분이 식사하는 모습을 본 적 있습니다. 두 개의 아우라가 주위에서 펼쳐지더군요. 인간인 내가 인간을 보며 마음 안에 백합꽃이 핀 적은 이때가 처음이자 마지막입니다. 두 분의 노벨평화상 수상을 추진한다는 소식을 들을 때마다 마음이 아픕니다. 인간이 만든 어떤 상도 두 분의 숭고한 인간적 행위를 대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두 분은 그냥 인간입니다.

곽재구 시인
2021-02-0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