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준 시인·여행작가
대보름날은 쥐불놀이가 절정을 이루고 달집태우기로 한 해의 소원을 빌었다. 또 하나 빠지지 않는 행사가 집안의 액을 연에 실어 날려 보내는 ‘액연(厄鳶)날리기’였다. 바람을 타고 까마득하게 올라간 연이 실을 팽팽하게 당기는 순간에 실을 끊어버리면 좋지 않은 기운이 연과 함께 날아간다고 믿었다.
썰매타기나 팽이치기처럼 연날리기도 겨우내 사내아이들을 밖으로 불러냈다. 연날리기는 연을 만드는 것부터 놀이였다. 아이들은 대개 스스로 연을 만들 줄 알았다. 준비는 살로 쓸 대나무를 확보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됐다. 대는 왕대보다 다루기 좋은 시누대를 주로 썼다.
문종이로 쓰이는 한지와 실, 그리고 실을 감는 얼레(연자세)도 필수품이었다.
우리나라 연은 형태와 문양에 따라 100여종에 이른다고 하는데, 그중 방패연과 가오리연이 주종을 이룬다. 방패연은 말 그대로 직사각형의 방패처럼 생겼다. 가운데에 ‘방구멍’이라는 구멍을 내며, 보통 세로와 가로를 3대2의 비율로 만든다.
가오리연은 마름모꼴의 가오리처럼 생겼다. 꼬리를 길게 붙이는데, 바람이 꼬리를 타고 흐르기 때문에 띄우기가 쉽다. 연을 만드는 순서 중 맨 먼저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과정이 대나무살을 깎는 것이다. 살은 탄력이 좋아야 하되 가능한 한 너무 무겁지 않도록 깎아야 한다. 가운데에 약간의 살을 남기고 양끝은 얇게 다듬는다.
연살을 다 깎으면 한지를 직사각형으로 자른 뒤 가운데에 방구멍을 낸다. 방구멍은 맞바람의 저항을 줄여 연이 상하지 않게 하는 것과 동시에, 구멍을 통과한 바람이 뒷면의 부족한 공기를 채워 연이 빨리 움직일 수 있도록 해 준다.
연 만들 종이를 여러 겹으로 접어 끝을 적당하게 잘라내면 둥근 구멍이 된다. 깎아 둔 머릿살을 한지 상단에 감아 붙인 다음 대각선으로 붙인다.
마지막으로 가운데살을 세로로 붙이고 허리살을 가로로 붙인다. 작게 자른 한지를 살 위에 촘촘하게 덧붙여 떨어지지 않도록 마무리한다. 마지막으로 실을 매는데, 이때 중요한 것은 머리살의 양 끝을 뒤쪽에서 당겨 매어 연 머리가 휘도록 해야 한다.
연을 띄우는 맛은 누가 뭐래도 연싸움에 있다. 공중에서 연끼리 싸우다가 실 하나가 끊어지면 뿌리를 잃은 연은 끝없이 날아간다.
울며불며 쫓아가는 ‘초보’들도 있지만 대개 빈손으로 돌아오기 마련이었다. 연싸움에서 이기기 위해 연줄에 사금파리 가루를 섞은 풀을 먹이기도 했다.
연은 단순히 놀이기구만은 아니었다. 액땜이나 무병(無病)을 비는 기복적 의미와 함께 군사용으로도 쓰였다.
삼국사기에도 연에 관한 기록이 있다. 신라 진덕여왕 1년(647년), 여왕의 등극에 반발한 비담과 염종이 반란을 일으키자 김유신이 밤에 횃불을 매단 큰 연을 띄워 패망의 기운을 불식시키고 군졸들의 사기를 높여 난을 평정했다는 내용이다.
또 고려시대에는 최영 장군이 전투에 연을 활용했으며 임진왜란 때는 이순신 장군이 암호전달용으로 썼다고 한다.
아이들이 즐겨 놀던 썰매나 팽이가 그렇듯, 이제 연 날리는 풍경도 보기 쉽지 않다. 보름께에 연날리기 행사를 하는 곳도 꽤 있지만 말 그대로 ‘행사’일 뿐 삶 속의 연은 아니다.
추운 겨울날 언덕 위에서, 내 연, 이겨라! 형아 연, 이겨라! 목청껏 소리치며 연 싸움을 하던 아이들은 이제 없다. 빈 들판마다 바람만 휘휘~ 휘파람 소리를 내며 배회하고 있을 뿐.
2020-02-26 3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