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검정과 검정색/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검정과 검정색/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0-01-29 21:58
수정 2020-01-30 02: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녹색 채소가 건강에 좋다는 건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최근 들어서는 ‘검정색 슈퍼푸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검정색’에 들어 있는 안토시아닌의 효과 때문이다.”

윗글에서와 같이 ‘검은색’과 ‘검정색’을 혼동하는 경우를 많이 본다. “검은색” 또는 “검정”을 “검정색”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바른 표현이 아니다. ‘검은색’은 ‘검다’의 활용형인 ‘검은’과 ‘색’으로 이루어진 합성어다. ‘검정’은 그 자체로 검은 빛깔이나 물감을 나타내는 명사다. 여기에 다시 ‘색’이란 말을 덧붙인 ‘검정색’은 바르지 않은 형태다. 색깔을 나타내는 다른 말들도 마찬가지다. 노랑색·빨강색·파랑색·하양색도 모두 잘못된 표현이다. “노랑색 티셔츠”, “빨강색 운동화”, “파랑색 가방”, “하양색 양말”처럼 사용하면 안 된다. 노랑·빨강·파랑·하양은 그 자체로 색깔의 의미를 지니므로 굳이 ‘-색’을 덧붙일 필요가 없다. 노랑·빨강·파랑·하양으로 쓰거나 노란색·빨간색·파란색·하얀색으로 고쳐 써야 한다. ‘소라색’과 ‘곤색’ 역시 피해야 할 표현이다. 소라색은 하늘을 뜻하는 ‘공’(空)의 일본 발음 ‘소라’(そら)에 한자어 ‘색’(色)이 합쳐진 말이다. 우리말 ‘하늘색’으로 바꿔 써야 한다. ‘곤색’도 마찬가지다. ‘감’(紺)은 검푸른 빛을 띤 남색을 뜻하는 한자인데 일본어로는 ‘곤’(こん)으로 발음한다. 여기에 ‘색’이 합쳐진 형태다. 곤색 대신 감색으로 표현하는 게 바람직하다.

oms30@seoul.co.kr

2020-01-3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