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진건 유배의 뒤안길] 유배와 위로

[양진건 유배의 뒤안길] 유배와 위로

입력 2016-09-20 23:04
수정 2016-09-21 00: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양진건 제주대 교수
양진건 제주대 교수
추석 연휴에 제주를 찾은 지인들을 모시고 유배지 가이드를 해 드렸다. 김정희(1786~1856)는 제주도에서도 위리안치(圍籬安置)라고 해서 가시로 울타리를 만들고 유배인을 그 안에 가두는 형을 받았다. 가시울타리로 제주도에서는 개탕쉬낭이라 불리는 탱자나무가 사용됐다. 그런데 가서 보니 가을이라 마침 울타리마다 탱자가 가득 달려 있었다.

가시울타리라고 해서 살벌할 줄 알았는데 풍성한 열매들 덕분에 지인들에게는 그렇게 보이지 않은 모양이었다. 봄에는 하얀 꽃이 가시마다 만개해서 또한 볼만하다고 말했더니 예술가였던 추사를 위한 좋은 선물이라고도 했다. 꽃 가운데서도 추사는 특히 제주도 수선화를 좋아했다. 그 귀한 수선화가 제주도에 지천으로 널려 있는 것을 보면서 “천하에 큰 구경거리”(天下大觀)라고 크게 감탄할 정도였다. 그런데 그 귀한 꽃이 소나 말의 먹이로 쓰이고 있다니, 이렇게 수선화의 가치가 외면당하는 현실을 추사는 자신의 불우한 처지에 비유하면서 자신을 위로하기도 했다.

1815년 6월 워털루전투에서 패한 나폴레옹(1769~1821)은 영국의 식민지였던 세인트헬레나 섬에서 유배 생활을 했다. 세인트헬레나 섬에서 나폴레옹을 위로해 준 것은 커피였고 “이 섬에서 쓸 만한 것은 커피뿐이다”라고 말할 정도였다. 그는 커피로 위로를 받으며 그 섬에서 죽었다. 세인트헬레나 섬에서는 일찍 커피가 재배됐지만 나폴레옹이 칭송할 때까지는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다고 한다.

나폴레옹을 얘기하게 되니 넬슨 만델라(1918~2013)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남아프리카 로벤 섬에서 유배 생활을 하던 만델라는 톨스토이로부터 위로를 받았다. 그는 형무소에서 생애 처음으로 소설을 읽을 결심을 하게 된다. 그의 평전에서 “만델라의 가슴속에 살고 있는 지칠 줄 모르는 벌이 톨스토이로부터 꿀을 따게 된다”고 할 정도로 그는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로부터 많은 감동과 위로를 받는다.

특히 만델라는 “쿠투조프 장군이 자기 나라 사람들에 대해 마음속 깊이 이해했기 때문에 나폴레옹을 물리칠 수 있었다”는 대목에서 깊은 감동을 받고 “국민을 잘 이끌기 위해서는 국민을 완벽하게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하게 돼 후일 세계 인권운동의 상징으로 훌륭한 대통령이 된다.

위로(慰勞)는 괴로움을 덜어 주거나 슬픔을 달래 주는 것이다. 위로를 해 주는 대상은 상대방이 될 수도 있지만 자신이 스스로를 위로하는 경우도 있다. 유배인은 스스로를 위로했던 사람들이라 해도 틀리지 않다. 유배지 흑산도에서의 고독과 불안으로 끊임없이 술을 찾았던 정약전(1758~1816)이 자신의 위로에 실패했다면, 500여권의 집필로 18년의 유배 생활을 견뎠던 정약용(1762~1836)은 자신의 위로에 성공한 사람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폭염을 생각하면 다시는 오지 않을 줄 알았는데 어김없이 가을이 왔다. 헤르만 헤세의 말처럼 “벌써 시든 잎들에서 부식된 공기의 냄새가 난다.” 가을은 자신의 위로가 필요한 계절이다. 그래서 “내가 지어야 할 농사를 내가 지어서 내 삶을 보살피고, 내가 가진 책을 내가 읽어서 내가 좋아하는 일을 추구하며,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내 마음대로 하며 내 인생을 마치려 한다”(吾耕吾稼 以養吾生 吾讀吾書 以從吾好 吾適吾意 以終吾世)던 유언호(1730∼1796) 같은 유배인의 뜻을 배울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2016-09-2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