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뉴욕/미술평론가

[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뉴욕/미술평론가

입력 2021-07-13 17:22
수정 2021-07-14 02: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조지 벨로스 ‘이 클럽의 두 회원’, 1909년 (115×160.5㎝, 내셔널 갤러리 오브 아트, 미국 워싱턴)
조지 벨로스 ‘이 클럽의 두 회원’, 1909년
(115×160.5㎝, 내셔널 갤러리 오브 아트, 미국 워싱턴)
이십대 초반의 조지 벨로스는 미술에 뜻을 품고 뉴욕으로 갔다. 20세기 초 뉴욕은 하루가 다르게 팽창하고 있었다. 벨로스는 두텁게 바른 물감, 힘 있는 터치로 번잡한 길거리며 노동자들이 모여 사는 세입자 건물, 이민자 공동체를 묘사했다. 1907~1909년 사이에 그린 세 점의 권투 경기 그림은 그의 대표작인 동시에 뉴욕의 거칠고 어두운 역사를 증언한다. 흑백 복서가 등장하는 ‘이 클럽의 두 회원’은 그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고 논쟁적인 작품이다.

당시의 권투는 한쪽이 초주검이 될 때까지 두들겨 패는 난폭한 방식이었으며, 시합의 조직과 운영을 둘러싸고 갱단과 도박꾼이 판치는 세계였다. 관중은 돈을 걸고 시합을 즐겼고 결과가 마음에 안 들면 소란과 폭동을 일으켰다. 1900년 뉴욕주는 공개된 장소에서 내기 권투 경기를 금지하는 법을 발효했지만, 돈과 짜릿한 쾌감이 걸린 내기 권투가 사라질 리 만무했다. 업자들은 권투 경기를 운동 클럽으로 옮겼다. 클럽은 관중에게 입장료 대신 ‘회비’를 받고, 시합 당일 선수들을 회원으로 가입시키는 편법을 써서 단속을 피했다. 이 그림의 무대인 ‘샤키 클럽’도 그런 곳이었다. 길 건너편에 살았던 벨로스는 클럽의 분위기를 잘 알고 있었고 시끌벅적하고 거친 장면을 화폭에 생생히 옮겼다. ‘이 클럽의 두 회원’은 두 복서가 등장할 때 장내 아나운서가 소개하는 말이었다. 벨로스는 이 말을 그림 제목으로 붙여 클럽의 불법적인 영업 방식을 냉소하고 있다.

링에서는 흑백 복서가 격렬하게 맞붙고 있다. 어둠을 배경으로 두 사람의 역동적인 자세가 삼각형 구도를 이룬다. 백인 선수의 얼굴과 가슴은 피로 물들어 있고, 거세게 달려드는 흑인 선수의 팽팽하게 긴장한 몸은 땀으로 번들거린다. 백인 선수는 녹아웃되기 직전인 것 같다. 스케치처럼 세부를 생략한 묘사, 빠르고 거친 터치가 이 장면의 폭력성을 강조한다.

아래쪽에는 시합을 관전하는 구경꾼들이 보인다. 히죽거리는 사람, 고함을 지르는 사람, 입을 헤벌린 채 경기에 몰두하는 사람. 이 그림은 묻는다. 서로 죽자사자 싸우는 권투 선수들이 잔인한가? 아니면 싸움을 붙여 놓고 구경하며 시시덕거리는 사람들이 더 잔인한가?

2021-07-1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