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가계부채 종합대책 미흡하고 불안하다

[사설] 가계부채 종합대책 미흡하고 불안하다

입력 2011-06-30 00:00
수정 2011-06-30 00: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가 어제 가계부채에 대한 종합대책을 내놓았다. 가계부채 적정 증가를 위해 은행권·제2금융권의 가계대출 관리를 강화하고 고정금리·비거치식 분할상환 대출 활성화를 유도하는 등 가계대출 구조를 개선하기로 했다. 변동금리 대출에 대한 설명을 의무적으로 하도록 하는 등의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 방안과 함께 지난 4월 발표한 서민금융 기반강화 종합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이를 토대로 한 보완대책도 나왔다. 가계부채 증가 규모와 속도를 지속적으로 조절하고 대출의 구조적인 문제를 점진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는 게 핵심이다. 얼핏 보기에는 이 정도의 대책이라면 가계부채 문제가 우려스럽긴 해도 해결가능한 범위 내에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하지만 정부의 이번 대책은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몇달 전부터 획기적인 종합대책을 내놓을 것이라고 장담했던 데 비춰보면 초라하기 그지없다. 요란한 잔칫상에 먹을 것이 없다는 옛 속담이 딱 들어맞는 격이다. 기존에 나왔던 내용들을 백화점식으로 나열하는 데 그쳤다는 지적이다. 무엇보다 가계부채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안이하다. 지난 10년간 가계부채의 증가율(연 13%)이 경상GDP(국내총생산) 증가율(7.3%)보다 훨씬 높고, 가계부채의 질이 악성이며, 금융권의 대출 구조가 정상대출이 아닌 약탈적 대출이라는 점 등을 감안하면 금융권에 대한 건전성 등 감독 수준이 훨씬 높아야 한다.

가계대출 문제는 금융만으로 풀릴 수는 없는 일이다. 부동산 경기 활성화, 일자리 창출을 통한 소득 증대, 금리 인상 등 거시정책 전반과 맞물려 있다. 통상 주택가격이 30%가량 떨어지거나 금리가 3% 포인트 상승하면 가계부채의 충격이 현실화된다고 본다. 아직까지 부동산 경기가 크게 떨어지거나 금리가 예상 외의 큰 폭으로 오르지는 않았지만 상황에 따라 가계부채 상환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원리금 상환으로 생계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하우스 푸어’가 156만명에 이른다. 금리 역시 베이비 스텝을 밟고 있지만 물가 불안과 가계부채 압박에 따라 럭비공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이번 대책 외에 금리·부동산 경기 등은 물론 고용 증진과 물가 안정이라는 가계소득 증대를 위한 거시정책을 병행해야 한다. 그래야 가계부채로 경제가 발목 잡히는 일을 막을 수 있다.
2011-06-3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