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북 해커와 공조한 국내조직 발본색원하라

[사설] 북 해커와 공조한 국내조직 발본색원하라

입력 2011-08-06 00:00
수정 2011-08-06 0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북한의 20대 초·중반 해커들이 국내 범죄조직과 공조해 중국에서 국내의 유명 온라인 게임을 해킹하는 프로그램을 불법 제작, 유포해 수십억원의 외화벌이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야말로 충격적이다. 북한이 정찰총국 예하 사이버부대 병력을 500명에서 3000명까지 늘렸고, 미국 중앙정보국(CIA)을 능가하는 역량을 확보했다는 관측이 제기되긴 했지만 이번 사건으로 그들의 사이버테러 능력이 허상이 아님이 밝혀졌다. 이들 해커는 김일성종합대학과 김책공업대학 등 명문대 출신 정보통신(IT) 영재들이다. 이는 북한이 사이버테러를 벌이려고 그동안 해커전문가를 조직적으로 양성해 왔음을 말해준다. 이미 북한은 청와대·국정원 등을 상대로 두 차례 디도스(DDoS·분산서비스 거부) 공격을, 지난 4월에는 농협 전산망을 해킹하는 등 사이버테러 행위를 자행해 왔지 않은가.

문제의 심각성은 북한이 양성한 해커와 국내 범죄조직이 결탁해 저질렀다는 점이다. 앞으로 북한 해커와 국내 범죄조직이 공조를 통해 국가 정보망과 금융망을 손쉽게 망가뜨릴 수 있다는 얘기다. 특히 내년에는 총선과 대선이 있는 해로, 이들이 악의적으로 공조해 각종 국가 및 민간업체의 전산망 해킹에 나설 경우 나라 전체가 혼란에 빠져들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한다. 북한 해커들이 해외가 아닌 국내 서버를 통해 사이버 테러를 자행할 경우 일괄적인 IP(internet protocol) 주소 차단이 쉽지 않아 일방적으로 당할 수도 있다. 실제로 북한 해커들은 국내 P2P 사이트에서 주민등록번호, 아이디, 비밀번호 등 개인정보 66만여건을 확보하고 있다고 한다.

정부는 우선 북한의 사이버테러 도발은 물론 이들과 연계한 국내 불순세력들이 더 있는지 철저히 추적해 붙잡아야 한다. 이번에 경찰에 붙잡힌 국내 범죄조직원 15명은 빙산의 일각으로 보인다. 조직적으로 북한 세력과 결탁한 이들을 발본색원하지 못하면 언제 어디서 무슨 참변을 당할지 모르는 위험한 상황에 내몰릴 수 있다. 사이버테러는 군사적 도발과 마찬가지다. 이를 위해 미국처럼 사이버테러 대응을 총괄지휘하는 곳을 정해 역할과 기능을 통합하고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IT 및 보안업체의 보안의식을 강화하고 체계적인 보안 전문가도 대거 양성해 북한의 사이버테러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2011-08-06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