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신재민 前차관 의혹 철저히 진상 규명하라

[사설] 신재민 前차관 의혹 철저히 진상 규명하라

입력 2011-09-23 00:00
수정 2011-09-23 0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현 정권 실세 인사들이 연루된 비리 의혹이 잇따라 터져 나오고 있다. 김두우·홍상표 전 청와대 홍보수석에 이어 신재민 전 문화체육부 차관에게도 금품수수 의혹이 제기됐다. 이국철 SLS그룹 회장이 신 전 차관에게 거액의 금품을 줬다고 폭로한 것이다. 세 사람은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이어서 정권 말 권력형 게이트로 비화될 공산이 크다. 특히 신 전 차관 건은 대선 캠프 지원을 빌미로 한 금품수수 의혹도 포함된 만큼 엄청난 폭발성이 잠재된 사안이다. 세 건 모두 철저한 진상 규명이 이뤄져야 하지만 신 전 차관 의혹은 더더욱 엄정한 수사가 요구된다.

이 회장은 신 전 차관에게 2002년부터 매달 수백만원을 주는 등 10년 가까이 현금과 법인카드, 차량 등을 제공했다고 주장했다. 언론 보도 내용을 보면 십수억원에서 수십억원까지 액수가 저마다 다르다. 또 이명박 대통령 후보의 대선 캠프인 ‘안국포럼’에 필요하다는 명목으로 신 전 차관이 얻어간 돈을 놓고 ‘한 차례 1억원’ ‘합쳐서 10억원’ 등 보도 내용이 다양하다. 이것 하나만으로도 실체 규명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게다가 신 전 차관은 법적 문제가 없다고 했으니, 액수의 정확성 여부는 차치하고서라도 금품 수수 자체를 일부 인정한 셈이다. 이 회장의 폭로가 사실이라면 너무나 충격적인 것이며, 사실이 아니라면 신 전 차관의 억울함을 벗겨주는 게 마땅한 일이다. 현 정권 실세 인사들이 줄줄이 비리에 얽히는 와중에 신 전 차관 파문까지 겹치면서 국민의 의구심은 증폭되고 있다. 게다가 이 회장은 사업 실패 이후 이런 폭로를 감행할 만큼, 속된 말로 악만 남아 있는 듯한 모습이다. 따라서 어떤 경우에도 이번 파문을 대충 얼버무리는 식으로 넘어갈 수 없게 됐다.

이 회장은 또 다른 실세와의 친분관계를 들먹이면서 2차, 3차 폭로도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일종의 메시지라고 했으니 협박성 거래를 제의한 것이나 다름없다. 폭로거리가 있다면 검찰이 응당 수사를 해야 하는 것이며, 없다면 그런 무책임한 행태는 용납될 수 없는 일이다. 의혹을 낱낱이 파헤쳐 국민이 납득할 결과를 내놓아야 한다. 또 다른 의혹을 남긴다면 정권 말 위기를 오히려 가중시킬 뿐임을 직시해야 할 것이다.

2011-09-2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