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조선왕실 갑옷·투구 반드시 돌려받아라

[사설] 조선왕실 갑옷·투구 반드시 돌려받아라

입력 2012-04-25 00:00
업데이트 2012-04-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에도 남아 있지 않은 조선 왕실의 투구와 갑옷, 익선관을 일본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사실이 공식적으로 확인됐다. 도쿄국립박물관의 진열품 관리과장은 그제 ‘문화재 제자리 찾기’ 등 한국 시민단체와의 간담회에서 “조선 왕실에서 사용하던 익선관과 투구, 갑옷 세트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 측이 보유한 갑옷과 투구가 조선 왕실의 유물이라고 인정한 것은 처음이다. 간담회에서 우리 측이 강탈되거나 불법유출된 문화재일 가능성을 제기하자 일본 측은 우물쭈물하며 즉답을 하지 못했다고 한다. 사실상 불법성을 인정한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

조선 왕실의 물품은 일제 강점기에도 반출입이 엄격하게 관리됐다. 갑옷과 투구가 기증 등의 절차를 거쳐 일본 측에 넘어갔다는 기록이 없는 만큼 불법적으로 유출됐을 가능성이 큰 것이다. 이 유물들은 일제 강점기에 우리나라의 소중한 유물을 1000점 넘게 쓸어 간 일본 사업가 오쿠라 다케노스의 아들이 도쿄국립박물관에 기증했기 때문에 불법 유출의 가능성이 더욱 크다. 우리 정부는 1965년 한일협정 협상 당시 ‘오쿠라 컬렉션’을 반환하라고 요구했지만, 일본은 개인 소장품이라는 이유로 거부한 바 있다.

한국 시민단체와의 간담회에서 일본 국립문화재기구 관계자는 도쿄·교토·나라·규슈 등 일본 내 4개 국립박물관에만 한반도에서 유래한 문화재가 4422점 소장돼 있다고 공개했다. 현재 일본으로 반출된 우리 문화재는 공식 집계된 것만 6만 1400여 점이고, 개인이 소장한 것까지 합치면 30만 점을 훌쩍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일본 정부는 조선총독부가 강제 반출했던 조선왕실의궤 등 150종 1205권의 도서를 지난해 말 반환했다. 이는 과거사를 둘러싸고 오랜 갈등을 이어 온 한·일관계에 크게 도움이 되는 일이었다. 그러나 조선왕실의궤를 포함해 일본이 지금까지 반환한 우리 문화재는 2600여 점에 불과하다. 일본 정부는 조선왕실의궤를 반환한 정신으로 조선 왕실의 투구와 갑옷도 반환해야 한다. 그것이 보다 협력적인 양국 관계의 미래를 위해서도 바람직한 일이 될 것이다.

2012-04-25 3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