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여야 직능단체 요구 옥석 가려야 민생 지킨다

[사설] 여야 직능단체 요구 옥석 가려야 민생 지킨다

입력 2012-11-27 00:00
수정 2012-11-27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선을 앞두고 무슨 무슨 협회니, 연합회니 하는 이름의 각종 직능단체들의 움직임이 분주하다. 자신들의 숙원사업을 대선 공약에 반영시키기 위해 목소리를 높이는가 하면, 수천 수만명의 회원 명단을 들고 특정 후보 지지를 선언하는 일도 봇물 터진 듯 이어지고 있다. 어제만 해도 새누리당사에는 ‘100만 유통업 종사자 대표’ ‘한국방송가수노동조합’ 등의 관계자들이 줄지어 찾아와 박근혜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민주통합당에도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어제는 다큐멘터리 영화 ‘워낭소리’를 만든 이충렬 감독 등 독립PD 30여명이 문재인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직능단체의 적극적인 정치 참여 그 자체는 비난받을 일이 아니다. 오히려 사회 각 부문의 다양한 목소리를 드러내고 걸러내는 과정이야말로 민주적 선거의 핵심 기제라고 할 것이다. 공개적인 지지로 특정 정파와 직능단체 간 음성적 뒷거래를 차단하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머릿수를 앞세운 직능단체의 과도한 요구와 오로지 눈앞의 표를 세는 데만 급급한 정치권의 섣부른 결탁이 어떤 폐단을 낳는지는 최근 버스·택시업계의 알력에서 이미 목도한 바 있다. 시한부 전면파업을 불사한 버스업계의 반발로 해당 법안의 국회 본회의 상정이 보류됐으나 이에 반발한 택시업계가 다음 달 7일 전국 25만대 택시를 여의도 국회 앞으로 몰고 오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으니, 또 한번 다수의 시민들이 홍역을 치를 판이다.

정도의 문제이겠으나 각 직능단체들이 제 이익을 관철시키려고 머릿수를 앞세워 목청을 높이는 것은 선거판의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불특정 다수를 볼모로 삼아 집단행동에 나서지 않는 한 용인할 측면도 없지 않다고 본다. 문제는 정치권이다. 후보와 선거 캠프의 핵심 인사들이 어제는 약사회, 오늘은 의사회 하는 식으로 이해관계가 상충하는 단체들 행사에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며 나가 이들이 듣기 좋은 소리들을 쏟아내며 허리를 굽히고 있는 게 현실이다. 자세를 고쳐 잡아야 한다. 이들의 요구를 가감 없이 듣고 고민하되 옥석을 가려야 한다. 표가 아니라 민생을 잣대로 수용할 것과 제척할 것을 엄정히 나누는 것이 차기 국정을 책임지겠다는 정당의 자세일 것이다. 당장 한 표가 아쉽다고 뒷감당도 못할 약속을 남발해 민생에 주름을 안기고 국정 혼란을 가중시키는 일은 결코 없어야 한다.

2012-11-2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