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윤 해수부 장관 후보자 거취 시간 끌 일 아니다

[사설] 윤 해수부 장관 후보자 거취 시간 끌 일 아니다

입력 2013-04-13 00:00
수정 2013-04-13 0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해양수산호’가 선장도 없이 망망대해를 떠돌고 있다. 해양강국의 염원 속에 5년 만에 부활한 해양수산부가 닻을 올리기도 전에 이렇게 비트적거리리라고 누가 상상이나 했겠는가. 윤진숙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본부장이 지난 2월 해수부 장관 후보자로 발표됐을 때만 해도 사람들은 그가 지방대와 여성이란 벽을 뚫고 직장생활을 하며 박사학위까지 취득한 해양환경 전문가 정도로만 여겼다. 결정적인 도덕적 흠결이 없으니 인사청문회를 너끈히 통과하고 장관직도 무난히 수행하리라고 믿었다. 그러나 그는 결코 모래 속에서 찾아낸 진주가 아님이 여실히 드러났다. 부처 핵심 현안은 물론 기초적 현황마저 파악하지 못하고 있으니 여당에서조차 스스로 물러나 줬으면 하고 바라는 지경에 이르렀다. 발목 잡기가 아니라 손목을 잡아주려 해도 기본적으로 자질이 안 되니 어찌할 도리가 없다고 한탄하는 난처한 상황에 처한 것이다.

해수부가 어떤 곳인가. 국토해양부로 간 해운·항만 분야와 농림수산식품부로 간 수산 분야를 합쳐 1만 3000여명의 공무원을 거느리고 1년 4조원 규모의 예산을 움직이는 슈퍼 부서다. 여야가 한목소리로 지적하듯 윤 후보자가 장관에 임명된다 하더라도 이런 거대 조직을 과연 제대로 장악할 수 있을까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전형적인 발탁인사에 대한 기대가 컸던 만큼 안타까움 또한 크다. 하지만 이제 결단을 내려야 한다. 문제의 답을 뻔히 알고 있음에도 이를 애써 외면하는 것은 국민에게 이중으로 실망을 안겨주는 것이다. 윤 후보자는 두 차례나 장관 내정을 고사했다고 한다. 다시 한번 자인소(自引疏)를 내는 심정으로 허물을 인정하고 몸을 감춰주기 바란다. 청와대도 이쯤 됐으면 임명을 철회하는 게 옳다. 지금 와서 새 인물을 찾기엔 너무 시간이 걸리니 일단 장관직을 맡겨놓고 진짜 능력을 보자고 하지만, 부실 출범은 지각 출범보다 더 큰 부작용을 낳을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아무리 미관말직이라도 공직은 엄중하기 이를 데 없는 것이다. 해양강국의 비전에 부응할 만한 자질이 부족한 이를 굳이 장관직에 앉힐 이유는 없다. 시간을 끌수록 민심은 멀어진다. 윤진숙 카드는 거둬들이고 역량 있는 새 인물을 골라야 한다.

2013-04-1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