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공공기관장 교체 경영실적과도 연계해야

[사설] 공공기관장 교체 경영실적과도 연계해야

입력 2013-05-01 00:00
업데이트 2013-05-01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기업 등 공공기관의 부채가 무려 500조원에 육박해 재무 건전성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기획재정부가 어제 발표한 지난해 말 기준 295개 공공기관의 부채는 493조 4000억원으로, 전년도보다 34조 4000억원이 늘어났다. 무엇보다 우려스러운 것은 준정부기관, 기타 공공기관과 달리 30개 공기업의 부채가 유독 증가했다는 점이다. 공기업의 부채 비율은 2006년 이후 해마다 치솟아 200%를 넘어섰다. 심각한 수준이다.

공공기관의 부채 문제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님은 주지의 사실이다. 대형 국책사업을 떠맡긴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주택임대사업 등으로, 한국수자원공사는 4대강사업으로 부채가 급격히 늘었다. 한국전력도 요금 인상 억제가 부채 증가에 크게 작용했다. 하지만 엄청난 부채 증가가 공공기관의 방만경영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을 부인해선 안 된다. 천문학적인 부채를 단번에 해결할 수는 없다. 긴요한 국책사업을 미룰 수도 없는 노릇이다. 하지만 이를 방치하면 국민의 세금을 쏟아부을 우려가 큰 만큼 하루빨리 해결 방안을 찾아야 한다.

박근혜 대통령은 그제 “공공기관의 부채 정보를 전부 공개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부채정보 공개를 방만경영의 고리를 끊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정부는 올해부터 공공기관의 사업별 구분회계를 통해 부채 증가의 책임 소재를 묻겠다고 밝힌 바 있다. 구분회계를 실시하면 어쩔 수 없이 떠안은 국책사업인지, 무리한 사업 확장으로 인한 결손인지 등을 진단해 책임 소재를 명확히 따질 수 있다. 그래야 부문별 자구 노력이 뒤따르게 되고, 정확한 경영진단도 가능하다. 기관장의 재신임을 묻는 잣대로도 활용할 수 있다.

정부의 올해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가 다음 달 하순쯤 나올 예정이다. 전례 없는 공공기관의 사업별 부채정보 공개는 전문성이 부족한 낙하산 기관장들을 퇴출시키는 시금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시스템이 정착되면 기관장은 경영혁신에 매진해 타성에 젖은 조직문화를 개선하고, 부채도 줄여나가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공공기관의 부채 증가를 바라보는 국민의 우려도 씻어낼 수 있을 것이다. 부실한 경영실적으로 교체되는 기관장 자리에는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정부 3.0’ 정신에 부합하는 창의성과 협업성을 두루 갖춘 전문가들이 기용돼야 마땅하다.

2013-05-01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