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신경숙 작가 표절 논란, 본인 해명이 먼저다

[사설] 신경숙 작가 표절 논란, 본인 해명이 먼저다

입력 2015-06-21 23:16
수정 2015-06-21 23: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소설가 신경숙씨의 표절 논란이 문단을 넘어 검찰 수사로까지 번졌다. 신씨의 단편 ‘전설’의 일부 문장이 일본 작가 미시마 유키오의 소설 ‘우국’(憂國)을 베꼈다는 의혹이 제기된 지난 16일 이후 논란은 걷잡을 수 없이 덩치가 커졌다. 누가 봐도 표절을 의심할 법한 유사 문장들에 문단과 독자들의 비판이 쏟아졌는데도 작가는 무대응으로 일관했고 급기야 검찰에 고발됐다.

문단의 대표 작가가 표절 문제로 검찰 수사를 받게 된 상황은 문단이나 독자 모두에게 불행한 일이다. 불과 며칠 만에 사태가 이렇게 커진 것은 전적으로 출판사와 작가의 책임이다. 문제가 된 작품을 출판한 창작과비평사(창비)는 의혹이 제기된 이튿날 표절을 부인하는 보도자료를 냈다. 별 고민 없이 문제를 일축하려는 무책임함에 비난 여론이 거세지자 다음날 창비는 “일부 문장들이 표절 혐의가 충분히 제기될 법하다”며 다시 말을 바꾸면서도 공론에 부치겠다는 애매한 입장을 보였다. 이런 북새통에도 정작 논란의 당사자인 작가는 뒤로 빠져 있었다. 출판사로 보낸 이메일을 통해 대응하지 않겠다는 입장만 한 차례 밝혔을 뿐이다.

덮어 놓고 작가를 두둔하며 어물쩍 넘어가려 했던 출판사의 오만한 대응이 스스로 화를 키운 셈이다.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도 못 막게 된 데는 무엇보다 작가 자신이 결정적인 원인을 제공했다. 의혹이 제기되자마자 신씨는 곧바로 적극적인 해명을 하거나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해야 했다. “작가로서 상처만 남을 뿐이니 대응하지 않겠다”는 일방적 태도는 독자들의 불신을 부추겼다. ‘엄마를 부탁해’ 등으로 영미권에서 드물게 간판 작가로 대접받는 그가 만신창이가 되는 모습을 누가 보고 싶었겠는가.

막강한 영향력을 자랑하는 창비와 최고 인기 작가인 신씨는 자신들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문단에서는 ‘문화권력’으로 통한다. 출판권력과 베스트셀러 작가의 결탁을 꼬집는 부정적인 의미 이면에는 한국 문학계에서 그들이 차지하는 역할이 그만큼 크다는 뜻도 있다. 고발장을 받아든 검찰이 대체 무슨 죄를 적용해야 수사할 수 있을지 법리를 따져 보고 있다 한다. 이 무슨 낯부끄러운 일인가. 지금에라도 신씨는 침묵을 깨고 독자들 앞에 용기 있게 나서라. 모두가 납득할 수 있도록 솔직하고 분명하게 해명하는 것이 최선이다.
2015-06-2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