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황 대행, 구제역 차단 선봉에 서라

[사설] 황 대행, 구제역 차단 선봉에 서라

입력 2017-02-12 23:08
업데이트 2017-02-13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구제역이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조짐이다. 이러다가 2010년 사상 최악의 구제역 파동을 다시 겪지 않을까 걱정이다. 2010년 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 서너 달간 350만 마리가 넘는 소, 돼지를 살처분했다. 끔찍했던 기억이 되살아날 만도 하다. 설상가상으로 이번에는 사상 처음 A형과 O형의 구제역 바이러스가 동시에 덮쳤다. 지난주 경기 연천에서 신고된 구제역은 지금껏 국내에 없었던 A형 바이러스로 판명됐다. O형 바이러스에만 대비해 온 정부로서는 뒤통수를 맞은 꼴이다. 당장 확보된 A형 백신이 없다니 축산 농가는 발만 동동 구른다.

구제역은 잊힐 만하면 반복됐다. 지난 16년간 8차례나 터졌으니 2년에 한 번꼴로 겪은 셈이다. 그 과정에서 살처분 등의 비용으로 들인 세금이 3조 3000억원이나 된다.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서도 정부 당국은 학습효과조차 제대로 못 보고 번번이 원점에서 허둥댄다. 바이러스 대비책만 봐도 그렇다. 엎어지면 코 닿을 중국에서 A형 구제역이 계속 발생했다면 여러 가능성에 미리 대비해야 했다. 이제 와서 A형 백신을 영국에 수소문하고 있다니 딱해도 보통 딱한 게 아니다. 이럴 거면 정부와 정책이 무슨 소용이 있겠냐는 한숨이 나온다.

소뿐만 아니라 돼지도 안전하지 않다는 걱정이 들린다. 돼지 방역을 소홀히 했다가는 걷잡을 수 없이 일이 커질 거라는 경고들이다. 바이러스 전파 속도가 소보다 돼지가 빠르고, 바이러스 배출량도 더 많기 때문이다. 전국 1000만 마리의 돼지에도 A형 바이러스 백신은 전혀 접종되지 않아 사실상 무방비 상태다. 이러니 벌써 소·돼지고기 사재기가 극성이다. 조류인플루엔자(AI) 파동에 계란값 폭등을 경험한 유통상들이 미리 물량 확보에 나선 결과라니 나무라지도 못할 일이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열 일 제쳐 두고 구제역 재앙을 막는 데만 신경을 쏟아야 할 때다. AI의 초동대응 실패를 되풀이한다면 위기관리 능력의 한계를 스스로 입증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황 대행은 공직사회의 고삐를 단단히 죄어 구제역 차단 방역에 명운을 건다는 각오를 보여야 한다. 일일점검회의에 참석해 현장 사정도 제대로 모르는 형식적 지시나 던져서는 아무 소용이 없다. 황 대행은 관련 모든 부처를 총동원해야 할 뿐만 아니라 24시간 비상 가동하는 컨트롤타워로 나서지 않으면 안 된다.
2017-02-13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