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멧돼지서 ASF 잇단 검출, 초기대응 실패 아닌가

[사설] 멧돼지서 ASF 잇단 검출, 초기대응 실패 아닌가

장세훈 기자
입력 2019-10-13 22:12
업데이트 2019-10-14 01: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야생 멧돼지에서도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가 검출돼 방역에 비상이 걸렸다. 경기 연천군과 강원 철원군에서 발견된 야생 멧돼지 폐사체에서 ASF 바이러스가 잇따라 확인됐다. 그동안 경기에서만 검출됐던 ASF 바이러스가 강원에서 처음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달 초 연천군 비무장지대(DMZ) 안에서 ASF 바이러스에 감염된 멧돼지 폐사체가 발견된 적은 있지만 DMZ 남방한계선 남쪽에서 확인된 것은 처음이어서 확산 우려를 키우고 있다.

정부 당국은 지금까지 “남방한계선 철책에 과학화 경계시스템이 구축돼 DMZ 내 멧돼지 등의 남측 이동이 차단돼 있다”면서 ASF에 감염된 멧돼지가 북한에서 남하할 가능성을 낮게 봤다. 그러나 접경 지역 멧돼지에서 바이러스가 연이어 검출됨에 따라 북한으로부터의 유입 가능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멧돼지가 철책을 넘을 순 없다고 하더라도 폐사체나 배설물과 접촉한 쥐와 새 등 다른 야생동물이 바이러스를 옮길 가능성마저 배제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ASF의 국내 감염 경로가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멧돼지를 포함한 야생동물을 핵심 변수로 고려하지 않은 게 뼈아픈 실책일 수 있다. 정부 당국이 ASF가 집중 발생한 경기 파주·김포·연천 지역의 모든 돼지를 수매·살처분했음에도 초기 대응에 실패했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정부가 DMZ를 포함한 민간인통제선 이북 지역에 항공 방역을 실시하고 연천·철원군 일부 지역에서 멧돼지 총기 사냥을 허용하기로 했지만, 뒷북 대응이 아닐 수 없다.

국내 야생 멧돼지는 30여만 마리로 추정된다. 멧돼지들이 제멋대로 돌아다니게 방치해선 안 된다. 자칫 ASF가 통제불가능한 상황으로 치달을 수 있다. 멧돼지에 대한 방역을 강화하고 집중 포획을 통해 개체수를 줄여야 한다.

2019-10-14 3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