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7년 만에 마주한 한일 경제팀, 통화스와프도 논의를

[사설] 7년 만에 마주한 한일 경제팀, 통화스와프도 논의를

입력 2023-05-03 00:12
수정 2023-05-03 0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추경호(왼쪽) 경제부총리와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 장관이 2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한·일 재무장관 회담 참석에 앞서 반갑게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추경호(왼쪽) 경제부총리와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 장관이 2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한·일 재무장관 회담 참석에 앞서 반갑게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과 일본의 재무장관이 7년 만에 얼굴을 맞댔다. 추경호 경제부총리와 스즈키 슌이치 재무상이 어제 인천 송도에서 만나 두 나라 간의 경제 협력을 공고히 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 아시아개발은행(ADB) 총회 부대행사 성격이었는데 올해 안에 일본에서 별도 정례회의도 갖기로 합의했다. 2016년을 끝으로 멈춰 섰던 양국의 공식 경제 채널이 이제라도 복원된 것은 반갑다. 여세를 몰아 한일 통화스와프 복원 논의도 물꼬를 트기 바란다.

한일 스와프는 2001년 7월 20억 달러로 작게 시작했다. 2011년 700억 달러까지 불어났으나 이명박 전 대통령의 독도 방문을 기점으로 급격히 감소했다. 마지막 남아 있던 100억 달러가 2015년 만기 연장되지 않으면서 끝이 났다. 외환시장 불안 등 유사시에 상대국 통화나 달러를 마이너스통장처럼 빼서 쓸 수 있는 만큼 스와프는 서로에게 윈윈이다. 최근 달러 약세 속에서도 원화는 나 홀로 약세를 이어 가고 있다. 1년을 넘긴 무역적자 탓이 크다. 미국이 곧 기준금리를 올리면 한미 금리 차가 역대 최고가 되는 것도 부담스러운 요인이다. 외환보유액이 4000억 달러가 넘는 만큼 급할 게 없다는 게 정부 입장이지만 시장 안전장치는 많을수록 좋다. 양국 모두 어제 회담 때는 “스와프 논의가 없었다”고 선을 그었다. 사안 성격상 공개적으로 진행할 일은 아니다. 물밑에서라도 활발히 논의하길 기대한다.

한일 장관이 손은 굳게 잡았지만 강조점은 미묘하게 달랐다. 추 부총리는 조속한 관계 정상화에, 스즈키 재무상은 북러 공동 대처에 방점을 뒀다. 그간의 간극이 하루아침에 좁혀지긴 힘들 것이다. 하지만 두 나라에 부는 모처럼의 훈풍을 첨단산업, 외환시장, 인적 교류 등 제반 분야로 넓혀 공동의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야말로 미래로의 첫걸음이다.
2023-05-0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