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노인 1표 불합리” “없을 사람이…” 당명서 ‘민주’ 떼라

[사설] “노인 1표 불합리” “없을 사람이…” 당명서 ‘민주’ 떼라

입력 2023-08-01 23:21
수정 2023-08-01 23: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더불어민주당 김은경 혁신위원장이 30일 성동구의 한 카페에서 열린 2030 청년좌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김은경 혁신위원장이 30일 성동구의 한 카페에서 열린 2030 청년좌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은경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장이 지난달 30일 청년들과의 좌담회에서 “왜 미래가 짧은 분들이 1대1로 투표해야 하느냐”는 발언을 했다고 한다. 살아갈 날이 얼마 남지 않은 고령자가 선거에서 젊은 사람과 마찬가지로 1표를 행사하는 건 옳지 않다는 것이다. 같은 당 양이원영 의원 또한 “지금 투표하는 많은 이들(노년층)은 미래에 살아 있지도 않을 사람들”이라며 장단을 맞췄다. 두 사람의 발언 모두 민주주의의 본질에 어긋나는 것은 물론 인간의 기본 가치를 망각한 망언이 아닐 수 없다. 이런 뒤틀린 차별 인식을 지닌 사람이 평등의 가치를 중시한다는 제1야당을 혁신하겠다고 앉아 있다. 기괴한 현실이다. 참담할 뿐이다.

김 위원장은 자신의 아이가 중학생 때 한 “왜 나이 든 사람이 우리 미래를 결정하느냐”란 질문에 답했던 기억을 되살려 문제의 발언을 했다. 그러면서 “자기 나이로부터 여명까지 비례적으로 투표하는 게 합리적”,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1인1표’라 어려움이 있지만 왜 미래가 짧은 분들이 1대1로 표결해야 하나”라고 했다. 민주주의에 대한 배움이 부족한 아이의 불만스러운 질문에 민주주의의 작동 원리를 제대로 설명하기는커녕 외려 장단을 맞추고는 이도 모자라 여러 해가 지난 자리에서 버젓이 청년들에게 ‘1표 등가성의 불합리’를 주장했다.

숱한 희생과 고통의 역사를 관통한 끝에 인류가 쟁취해 낸 존엄과 평등의 가치에 바탕한 1인1표제의 민주적 당위성을 새삼 언급할 필요는 없겠다. 민주당은 과거에도 “60·70대는 투표 안 하고 집에서 쉬셔도 된다”(정동영), “60대가 되면 뇌가 썩는다”(유시민) 등 수많은 노인 폄하 발언으로 논란을 빚었다. 이제 혁신위원장까지 가세한 꼴이다. 이럴 거면 차라리 당 이름에서 ‘민주’를 떼는 게 낫겠다.
2023-08-02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