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호 군사위성 안착, 킬체인 구축 박차 가하길

[사설] 1호 군사위성 안착, 킬체인 구축 박차 가하길

입력 2023-12-04 02:38
수정 2023-12-04 02: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군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
군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 지난 2일 미국 캘리포니아 소재 밴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우리 군 첫 정찰위성 1호기를 탑재한 미국 스페이스Ⅹ사의 우주발사체 ‘팰컨9’이 발사되고 있다.
스페이스X 제공
한국의 첫 군사정찰위성이 지난 2일 발사돼 정상 궤도에 진입한 데 이어 국내외 지상국과의 교신에 잇따라 성공했다. 이로써 우리 군은 그동안 대북 정찰위성 정보 수집을 전적으로 미국에 의존해 온 데서 벗어나 독자적 대북 감시 능력을 확보하는 첫발을 딛게 됐다. 북한의 기습적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킬체인’(선제타격) 등 한국형 3축 체계 구축 강화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이번에 미국 스페이스X사의 우주발사체 ‘팰컨9’에 실려 발사된 우리 군의 정찰위성 1호엔 지상 물체를 가로·세로 30㎝ 크기까지 식별할 수 있는 촬영 장비가 탑재돼 있다고 한다. 북한이 지난달 21일 발사한 정찰위성 ‘만리경1호’보다 식별 능력(3~5m)이 10배 정도 정밀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현재 우리 군은 독자 정찰위성을 확보하는 ‘425사업’을 추진 중이며 이번 정찰위성 1호는 그 첫 결과물이다. 2025년까지 4기의 고해상도 정찰위성을 추가로 발사할 예정이다. 모두 전력화하면 2시간 간격으로 북한 주요 지역을 감시할 수 있게 된다.

북한은 문재인 정부 시절 대북 유화책 뒤에 숨어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에 매달려 왔다. 그 결과 이젠 남한과 일본을 넘어 미국 본토로 미사일을 날려 보낼 수 있다고 큰소리치고 있다. 특히 최근 발사 준비 시간이 짧아 한미의 감시를 피하기 용이한 고체연료 미사일을 실험발사하는 등 기습도발 능력을 최대한 키우는 모양새다. 따라서 우리로선 북한의 도발 징후를 최단시간에 포착해 30분 내 표적을 선제타격하는 킬체인 구축에 박차를 가할 수밖에 없다. 이번 정찰위성 1호는 그 디딤돌이라고 볼 수 있다. 앞으로 30분 간격까지 대북 위성 감시가 가능한 능력을 갖춰 킬체인이 완벽하게 작동하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2023-12-0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