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공공기관 신규 채용에서 청년 비중이 4년만에 최저를 기록하는 등 ‘그냥 쉬었음’ 청년이 늘고 있다. 사진은 10일 서울의 한 고용복지플러스센터 일자리 정보 게시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0/SSC_20250210200530_O2.jpg.webp)
![지난해 공공기관 신규 채용에서 청년 비중이 4년만에 최저를 기록하는 등 ‘그냥 쉬었음’ 청년이 늘고 있다. 사진은 10일 서울의 한 고용복지플러스센터 일자리 정보 게시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0/SSC_20250210200530_O2.jpg.webp)
지난해 공공기관 신규 채용에서 청년 비중이 4년만에 최저를 기록하는 등 ‘그냥 쉬었음’ 청년이 늘고 있다. 사진은 10일 서울의 한 고용복지플러스센터 일자리 정보 게시판.
지난해 공공기관의 신규 정규직 채용이 1만 9920명에 그치며 2만명 선이 무너졌다. 이 중 청년은 1만 6429명으로 82.5%다. 2020년 74.8%보다 높지만 당시는 채용(2만 9480명) 규모가 컸고 청년 채용이 2만명을 넘었다. 지난해 정부 목표 또한 청년 2만명을 포함해 2만 4000명이었다. 청년 채용 부진이 전체 목표 달성 실패로 이어진 셈이다. 의정 갈등으로 공공의료기관이 채용을 줄인 탓도 크다.
민간기업의 고용 사정도 좋지 않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300인 이상 사업체의 취업자는 전년보다 5만 8000명 늘어났다. 2018년(5만명) 이후 6년 만에 증가폭이 가장 작다. 300인 이상 사업체는 중견·대기업이다. 공공기관과 함께 청년들의 선호도가 높고 상대적으로 안정된 직장이다.
채용 방식은 노동시장에 갓 진입한 청년들에게 불리한 경력직 수시 채용으로 바뀌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지난해 100인 이상 500개 기업에 물은 결과 가장 중요한 평가요소는 ‘직무 관련 업무 경험’(74.6%)이었다. ‘수시 채용만 하겠다’는 기업도 60.6%였다. 취업 기회가 사라지면 구직 자체를 포기하게 된다. 지난해 ‘그냥 쉬었음’ 청년(15~29세)이 42만 1000명으로 전년보다 2만 1000명 늘었다. 30대도 2만 2000명 늘어난 30만 2000명이 그냥 쉬었다.
구직을 포기하는 청년이 늘어나는 것은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다. 일자리 양극화는 소득 양극화로 이어져 사회통합을 저해한다. 땜질 처방일지라도 공공기관이 청년 채용에 적극 나서야 하는 까닭이다. 체험형 인턴, 산학협력 프로그램 등 다양한 제도를 마련해 청년들에게 업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노동시장 이중구조 해소도 시급하다. 첫 직장이 평생 소득과 삶의 질을 좌우하니 청년들이 대기업 정규직에만 몰리다 구직을 포기하는 것 아닌가. 일자리를 포기하니 결혼도 출산도 포기하게 된다. 일자리가 최고의 복지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2025-02-11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