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교사가 학생 해치는 학교, 이 불안 어떻게 떨치나

[사설] 교사가 학생 해치는 학교, 이 불안 어떻게 떨치나

입력 2025-02-11 23:51
수정 2025-02-12 00: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피해 초등학생 추모하는 꽃과 과자
피해 초등학생 추모하는 꽃과 과자 11일 오전, 초등생 1학년 여아가 살해당한 대전 서구 한 초등학교에 시민들이 두고 간 편지와 꽃, 과자, 인형 등이 놓여있다. 지난 10일 오후 5시 50분께 이 학교에서 초등학교 1학년생인 A(8)양이 흉기에 찔려 심정지 상태로 발견됐으나 숨졌다. 경찰은 현장에서는 다친 채 발견된 교사 B(40대)씨가 A양을 찌른 뒤 자해한 것으로 보고 자세한 사건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제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 40대 여교사 A씨가 방과 후 돌봄 시간에 이 학교 1학년생인 B양을 흉기로 해쳤다. 차마 말로 다 못할 충격이다. B양은 병원으로 긴급 이송됐으나 끝내 숨졌다. A교사는 범행 당일 흉기를 구입해 범행을 했다고 경찰에 진술했다. 안전해야 할 학교에서 터진 끔찍한 범행에 학부모들의 불안감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교직 생활 20년차인 A교사는 교과전담 교사로 이미 문제가 심상찮았다. 범행 나흘 전에 동료 교사의 팔을 꺾고 집기를 파손하는 등 폭력적 성향을 보여 학교에서 휴직 필요성을 제기했다고 한다. 하지만 교육청은 같은 병력으로 더이상 휴직이 불가능하다고 했다. A교사는 우울증 등의 문제로 휴직했다가 지난해 말 복직한 상태였다. 그는 복직 후 사흘 만에 수업에서 배제되자 이런 참극을 저질렀다고 한다. 짜증이 나서 범행 대상으로 어떤 아이든 상관없었다고 했다니 말문이 막힌다.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지도 못하는 사람이 교사 신분을 유지했고 어린 학생들이 무방비로 노출됐던 셈이다.

어처구니없는 참사로 학부모들의 불안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진다. “학교에 아이를 마음 놓고 맡길 수 없다면 이제 무얼 어떻게 해야 하나”라는 우려가 쏟아지고 있다. 정신건강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교사가 어떻게 그렇게 쉽게 복직할 수 있었는지부터 근원적 의문이 제기된다. 방과후 돌봄 시간에는 관리감독이 더 허술할 수밖에 없으니 맞벌이 부부들은 더 걱정이 크다.

교육당국은 교사의 정신건강 문제와 자격 검증 시스템을 철저히 재점검해야 한다. 지난해 조사 결과 교사의 정신질환 발생 위험도는 일반직 공무원의 2배 이상이었다. 체계적인 심사와 지원도 뒷받침돼야 한다. 교육청의 경직된 행정처리도 이참에 개선돼야 한다. 비정상적 폭력성을 보이는 교사가 ‘같은 사유로 추가 휴직이 어렵다’는 사유로 어린 학생 곁에 방치된 사실은 아무리 납득하려 해도 납득할 수가 없는 일이다.
2025-02-1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